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북방한계선상의) 서해 남북 공동어로구역이 박근혜 정부의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구상과 같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에서 북방한계선(NLL)을 포기하는 발언을 했다”는 새누리당의 기존 주장을 사실상 부정한 발언이다.
20일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 출석한 김 장관은 백군기 민주당 의원이 ‘(남북 공동어로구역과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두가지가 땅과 바다라는 차이 외엔 그 취지나 구상에서 차이가 없다’고 지적하자, “(두가지) 구상이 모두 남북 긴장 완화와 평화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추구하는 방향은 같다”고 답변했다. 김 장관은 이어 “서해 공동어로구역을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등면적으로 하자는 우리 주장에 대해 북측에서 북방한계선을 인정하지 않은 데 문제가 있(었)다”며 “미래에 남북간 긴장 완화가 이뤄지면 (공동어로구역은) 당연히 논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의 이런 발언은 노 전 대통령의 남북 공동어로구역 조성 시도가 박 대통령의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제안과 마찬가지로 남북의 긴장 완화에 기여하려는 것이었다는 점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김 장관은 노무현 정부가 공동어로구역을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등면적으로 하자”고 제안했으나,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까지 모두 확인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