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전 분열’ 우려 떨치고
토론회 등 열어 본격 목소리
지방선거 패배 위기감 탓
토론회 등 열어 본격 목소리
지방선거 패배 위기감 탓
민주당에 ‘혁신 백가쟁명’이 벌어지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분파주의 극복과 당원 중심주의 강화를 당 혁신의 주요 과제로 강조하고 있지만, 당내 여러 그룹에선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다른 방안들을 쏟아내고 있다.
최재성 의원 등 민주당 의원 10여명은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정치혁신 토론회’를 열어 ‘시민에게 열린 정당’으로 변신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최 의원은 “당 지도부가 ‘제왕적 지도권’을 갖고 있으나 시민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시민의 참여, 결정, (정책)생성을 다 보장해내는 정당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각각 행정·입법·사법부적 성격을 갖는 당 지도부와 당무위원회, 윤리위원회를 독립시키켜 권력을 분산하고 이들이 상호 견제와 균형을 이루는 정당 시스템을 제안했다.
문재인 의원도 전날 <한겨레> 인터뷰에서 “시민들이 정당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서 공직후보의 선출에도 관계하고 당의 의사결정과 정책결정에도 참여하고 당을 이끌어야 된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중간층, 무당파의 지지를 받기 위해 아예 오른쪽 기조로 가는 게 아니라, 자기 정체성을 지키며 유연하고 더 확장성 있는 진보를 추구해야 된다. 지지를 받는 관건은 신뢰”라고 했었다.
당 안에선 이들 말고도 혁신 방안을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김기식 의원 등 민주당 초선들은 2월께 모임을 만들어 혁신 프로그램을 제시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민주당이 수권정당이 되려면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며 “한국 정치의 미래 비전부터 정당 시스템 혁신까지 크고 작은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해 대안을 내야 한다”고 했다.
이런 움직임은 당 지도부의 행보에 불만을 느끼면서도 ‘적전 분열’을 우려해 숨죽여왔던 그동안의 내부 모습과는 다른 것이다. 2012년을 총선·대선으로 숨가쁘게 보내고, 지난해 대선 패배 후유증 극복과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의 진상규명에 몰입하면서 미뤄온 당 혁신을 실천하지 않으면, 6월 지방선거에서도 패배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내 혁신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오영식 의원은 “지도부에 건강한 문제제기와 의견을 제시해 (노선에) 반영하려고 노력하는 것일 뿐, 지도부 흔들기가 아니다. 당면한 지방선거를 돌파하려는 상황에서 다른 생각은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조혜정 송호진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