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박대통령 구상과 안맞아”
친박근혜(친박)계 핵심인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박근혜 대통령 취임 1년을 맞은 25일 정치권과 정부·청와대 간 소통을 담당할 정무장관직의 부활을 거듭 건의했다. 그러나 청와대의 반응은 썰렁했다.
최 원내대표는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앞으로 남은 4년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와 국민 통합을 위해 야당과 소통을 이뤄내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의 정치력을 한 단계 높여야 한다.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담당할 정무장관직 부활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렇게 해야 야당과의 소통, 정치권과의 소통을 높이면서 국정운영이 더욱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책임있는 정부라면 막무가내식 발목잡기를 하는 야당 탓만 하고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1년 동안 끊임없이 제기돼 온 야당과의 불통 논란, 정치력 부재 문제를 해소하지 않고선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원활한 국정운영이 어렵다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최 원내대표는 지난해 6월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도 “정치를 회복하고 청와대와 국회 관계를 원활히 해야 한다”며 정무장관직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정무장관직은 김대중 정부 때 없앴다가 이명박 정부에서 11년 만에 ‘특임장관’으로 부활시켰으나, 박 대통령이 각 부처 장관의 정무기능을 강화하는 내용의 책임장관제를 대선공약으로 제시하면서 다시 폐지됐다. 그러나 지난 1년 동안 각 부처 장관들과 청와대 정무수석이 야당과 소통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여당 지도부에서부터 청와대의 정무기능 부재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최 원내대표의 제안은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스타일상 그런 장관 자리 하나 더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며 “국회의 논의와 협의 내용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한 마당에, 대국회 업무를 강화하는 쪽으로 정부조직을 개편하는 것은 박 대통령의 구상과 맞지 않다”고 말했다.
김수헌 석진환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