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과거사는 안다뤄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리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나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북핵 불용 원칙’을 재확인했다.
세 나라 정상은 핵안보정상회의 폐막식이 끝난 뒤인 25일(이하 현지시각) 저녁 헤이그 미국 대사관저에서 만나 북한 핵문제에 대한 한-미-일 3국의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만남은 한-미-일 삼각 공조의 복원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는 오바마 대통령이 두 정상을 초청하는 형식으로 이뤄졌으며,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한 테이블에 앉는 것은 두 정상이 취임한 이후 처음이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3자회담의 대부분은 북핵 문제에 대한 3국의 공조에 대한 논의로 채워졌다. 현재 북핵과 관련한 현황과 평가, 향후 예상되는 상황에 대한 점검이 있었으며,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는 3자 차원의 심도 있는 의견 교환과 대응 방안 등도 논의됐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비롯해 자신의 통일 구상에 대해 설명했으며, 오바마 대통령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등 최근 벌어지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 대응을 요청했다. 한-일 간 갈등을 빚고 있는 일본의 과거사 왜곡 문제 등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 여부 등도 논의됐으나, 세 정상은 조속한 회담 복원을 원하는 중국 쪽 견해와 달리 ‘북한의 비핵화를 이룰 실질적인 조처가 선행돼야 한다’는 기존 3국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에서 의견을 조율했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4일 정상회담을 열어 북한 비핵화와 6자회담 재개 등을 논의했다. 두 정상은 ‘북핵 불용’ 원칙에는 공감했으나, 6자회담 재개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사전조치 이행’에, 시 주석은 ‘6자회담 재개’를 강조하며 확연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이 진지하게 협상 테이블에 앉으려는 의도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반면, 시 주석은 “협상 재개가 북핵 해결의 유일하고 올바른 방법이며, 모든 당사국이 2005년 9·19 공동성명의 목표를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3자회담을 마친 뒤 전용기편으로 베를린에 도착해 26일부터 독일 국빈방문 일정을 시작한다. 헤이그/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