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서 상품권 등 받았는데
거의 처벌 안받고 소속 부처 복귀
청 “개인 사정” 해명, 여당서도 비판
거의 처벌 안받고 소속 부처 복귀
청 “개인 사정” 해명, 여당서도 비판
청와대 민정수석실 감찰로 비위 사실이 적발된 청와대 행정관들이 대부분 별다른 처벌 없이 소속 부처로 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는 이들을 감싸기 위해 ‘개인적인 사정으로 돌아간다’는 식으로 거짓말을 했다는 논란까지 사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해 7~10월 내부 감찰에서 경제수석실과 미래전략수석실, 민정수석실의 3~5급 행정관 5명의 비위 사실을 적발했다.
이들은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상품권이나 골프 접대 등을 받거나, 법인카드 사적 사용 및 근무지 무단이탈 등의 사유로 적발됐다. 국무조정실 소속 행정관은 자신의 직속 상사인 비서관에게 다른 부처의 법인카드를 받아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정부 부처에 배정된 업무추진비 예산이 청와대에 상납된 셈이다. 이들 중 로펌으로 이직한 공정위 출신 행정관을 제외한 4명은 원소속 부처로 돌아가 아무런 불이익 없이 국장급이나 주요 과장 보직을 맡았다.
이들이 소속 부처로 돌아갈 당시인 지난해 11월 청와대는 “가정사에 따른 본인 희망과 부처별 인사에 따른 결과이고, 행정관 1명만 현 정부 출범 전 있었던 골프 접대와 상품권 수수 건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이들에 대한 감찰 결과가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당시 청와대가 거짓 해명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청와대는 지난 2일 이들에 대한 ‘봐주기 처벌’과 ‘거짓 해명’ 논란이 불거진 이후 민정수석실 차원에서 대책회의 등을 열었지만, 이틀째인 3일까지도 별다른 해명 없이 침묵하고 있다.
여당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강조해 온 공직사회 기강 확립을 청와대 내부에서 스스로 무너뜨리려는 것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매우 적절치 못한 처사”라며 “청와대 행정관의 비위는 정권의 도덕성에 흠집을 남길 수 있는 중대 사안으로, 엄중한 처벌도 모자랄 판에 슬그머니 감추려고 했다면 어떤 변명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