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안대희 전 대법관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과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의 사퇴 등에 대해 22일 여야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새누리당은 환영의 뜻을 보였다. 함진규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논평을 내 “안 전 대법관은 검찰 주요 요직을 두루 거치고 2003년에는 불법 대선자금 수사를 지휘하며 소신 있는 수사와 청렴함으로 법조계의 두터운 신망을 얻어왔다”며 “경험과 경륜이 풍부한 만큼 총리 후보자로서의 자격을 충분히 갖춘 분”이라고 평가했다. 또 함 대변인은 “지금껏 보여준 뚝심과 추진력으로 혼신의 힘을 다해 국가개조를 뒷받침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또다시 검찰 출신이 국무총리에 내정된 점과 김기춘 비서실장이 물러나지 않은 것을 지목했다. 한정애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김기춘 비서실장의 교체 없는 인적 쇄신은 무의미하다. 박 대통령은 정홍원 총리에 이어 검찰 출신을 연속 기용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는데, 이는 국민화합, 국민통합, 그리고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아파하는 국민들의 눈물을 닦아주기를 바랐던 국민적 기대를 철저하게 외면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총리·국정원장·국가안보실장·비서실장·<한국방송>(KBS) 사장 등 ‘오적 사퇴’를 주장해온 박지원 새정치연합 의원은 “아직 2적이 남았다. 미완의 청산”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겉으로는 이렇게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지만, 새정치연합 내부에선 안 전 대법관의 총리 후보자 지명과 남재준 원장과 김장수 실장의 사퇴 등이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인적 쇄신의 의지를 어느 정도 보인 탓에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으로 세월호 국면이 인사 정국으로 넘어가 여권에 대한 심판론이 희석될 것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이유주현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