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회의서 “야당이 정략적 이용
지도부가 과단성 있는 판단해야”
배상 위주 ‘지원 특위’ 활동 시작
지도부가 과단성 있는 판단해야”
배상 위주 ‘지원 특위’ 활동 시작
새누리당 의원들이 5일 세월호 진상규명 협상에 대해 더 강하게 야당을 압박하라고 당 지도부에 촉구하는 동시에, 당 차원에서는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진상규명보다는 보상·배상에 무게를 둔 특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 세월호 문제해결을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보다는 보상·배상으로 매듭짓기 위한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고 있다.
이날 열린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은 야당의 세월호 특별법과 청문회 협상 요구를 ‘정략적’이라고 단정지었다. 강기윤 의원은 “세월호에 관련된 부분(진상조사를 위한 특별법과 청문회)은 답이 다 나왔다. 이것을 가지고 (야당이)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부분들은 국민의 심판으로 끝내야 한다”며 지도부에 ‘결단’을 촉구했다.
김성태 의원도 “(야당이) 정쟁을 위한 시간 끌기로 세월호 국조특위 (증인 채택)와 특검 문제를 들고 나왔다면, 지도부가 과단성 있는 판단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30 재보선에서 압승한 여세를 몰아 세월호 진상조사위에 특검 추천권을 주고 국조 청문회에는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등 핵심 증인을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야당에 더 강경하게 대응하라고 주문한 것이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야당과의 협상 과정에) 금주에 숨통을 틀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그러나 새누리당이 ‘포퓰리즘’이라고 반대했던 세월호 피해학생의 ‘대학 정원외 입학’ 문제에 대해 “대학 수시모집 전형 날짜 관계로 8월18일까지는 되야 한다”며 오히려 야당을 압박했다.
새누리당의 ‘세월호 피해자 지원 특위’도 이날 첫 회의를 열었다. 단원고가 위치한 안산의 의원인 김명연 특위 간사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특위는 세월호 특별법 협상 등과 상관없이 이번 주부터 피해자 가족을 개별적으로 만나 힘든 점을 듣고 조용히 해결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피해자 가족들과 야당은 이 특위가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세월호 특별법의 최우선 목적을 퇴색시키고 배·보상 문제만을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이날 특위 첫 회의에서 김을동 특위 위원장은 “지금까지 세월호 문제가 정파적인 것이 가미가 되서 (해결되지 않았다)”라며 “지금부터는 유가족 입장에서, 피해자 입장에서 실질적 지원해야 한다. 모든 정파는 완전히 배제하고 가야 된다”며 가족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문제에만 집중할 뜻을 분명히 했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