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원장 넘기고 원내대표 유지”
“세월호 협상 신뢰 잃어 둘다 사퇴를”
“당 더 망가져…둘다 유임을”
당내서 세가지 목소리 나와
“세월호 협상 신뢰 잃어 둘다 사퇴를”
“당 더 망가져…둘다 유임을”
당내서 세가지 목소리 나와
지난 19일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가 파열음을 일으키며 최대 정치적 위기에 놓인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거취가 25일 열릴 의원총회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당내에선 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만 내려놓고 다른 사람이 맡는 역할분담론, 박 원내대표가 두 자리 모두 사퇴해야 한다는 전면교체론, 상황을 정리할 수 있을 때까지 일단 두 자리를 모두 맡아야 한다는 수습론 등이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다.
역할분담론은 중진 그룹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원혜영 의원 등 8명은 지난 22일 모임을 열어 비대위원장을 다른 인사가 맡아 ‘투톱 체제’로 가는 게 맞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박 원내대표에게 직접 전달했다. 한 3선 의원은 “박 원내대표가 특별법 협상을 서두르며 실기했던 것은, 당대표의 협의·확인·승인 절차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박 원내대표가 결단해 비대위원장은 다른 이에게 넘기고 그와 함께 협의할 수 있는 투톱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쪽에선 모두 다 그만둬야 한다는 의견도 고개를 든다. 한 중진 의원은 “그는 원내대표로서 협상했다가 새누리당, 유족들, 당내 의원들로부터 모두 신뢰를 잃었다. 비대위원장은 사퇴하고 원내대표직은 유지한다는 건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세번째 수습론은 박 원내대표 선거 때 그를 지지했고, 비대위원장을 맡을 때도 추대 의지가 강했던 이들로부터 나온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박 원내대표의 거취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면 당은 더 망가진다. 지도부 교체론이 나오면 ‘세월호’ 이슈는 사라지고 ‘박영선’ 이슈만 남는다”고 말했다.
당내 기류를 살펴보면, 세월호 특별법 2차 합의안은 의총 추인이 어려운 상황이다. 합의 직후엔 “유족들이 거부하더라도 여야 합의 정신을 고려할 때 추인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었으나, 이젠 소수 의견이 됐다. 병원에 실려가서도 단식을 하고 있는 ‘유민 아빠’ 김영오씨의 투쟁과 이를 모른 척하는 여권에 대한 야권 지지층의 분노 등을 고려할 때 새정치연합이 이 합의안을 추인하는 것은 ‘자살골’과 마찬가지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19일 2차 협상 실패 이후 자신의 거취에 대해 공개적으로 밝힌 적이 없다. 일단은 본인이 책임지고 수습에 나서겠다는 뜻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