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이재오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 의원이 국회 개헌특위 구성을 다시 한번 압박하자,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대통령에게 권력이 집중되어선 국가가 안된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문건 관련 청와대 쇄신 기미 없자
여론악화 위기감에 비판 목소리
여론악화 위기감에 비판 목소리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검찰의 중간수사결과 발표 이후 청와대가 ‘법적 책임이 없으니, 정치적 책임도 지지 않겠다’는 모습을 보이자, 여당 내부에서조차 ‘청와대 책임론·쇄신론’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까진 주로 ‘친이계’(친이명박계) 중진 의원들이 중심이 돼 공개발언을 이어가고 있지만, 일부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청와대가 위기의식을 느껴야 한다’며 그동안 쌓인 불만 등이 새어나오고 있다.
친이계 좌장 격인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은 7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이번 ‘정윤회 문건’ 사건과 관련해 “청와대에서 문건이 유출돼 정국을 혼란스럽게 만들었으면 최소한 (청와대 내부에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든 해당 비서관들이든 비선 실세로 지목된 사람이든,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청와대 책임론’을 꺼내들었다. 또 이 의원은 “청와대는 (최소한) ‘관리를 잘못한 탓에 문건이 유출돼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해서 죄송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관련된 사람들을 쇄신 차원에서 인사조처 해야 한다. 그것이 책임정치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4선의 정병국 의원도 이날 <평화방송>(PBC)에 출연해 “이번 사건은 내용이 어떻든 청와대가 만든 문건이고, (청와대) 밖으로 유출됐다는 건 팩트(사실)”라며 “문건이 작성되게끔 상황을 만들고, 문건이 유출되게 한 청와대가 책임을 지고 인적 쇄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군현 사무총장도 이날 <와이티엔>(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인사 등 (청와대 내부) 문제는 시스템에 의해 움직여야 한다”며 “청와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내부의 이런 목소리를 계파 문제로만 들여다볼 경우, 자원외교 국정조사 등으로 수세에 몰린 친이계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세에 나선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민심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의원들이 이번 사건을 통해 악화된 여론에 대한 위기감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친이계처럼 공개적이진 않지만, 친박계 일각에서도 청와대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새누리당의 한 초선 의원은 “안대희·문창극 총리 후보자 낙마, 세월호 참사, 이번 문건유출 사건 등 청와대는 단 한번도 책임지거나 인적 쇄신을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며 “이런 모습은 국민들에게 ‘독선’, ‘불통’으로 비칠 수밖에 없고, 여당 지지층까지 등 돌리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의 한 재선 의원은 “청와대가 야당에 공세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며 “위기의식을 느끼고 이번 사건을 개혁과 쇄신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의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을 거듭 요구했다. 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김영한 민정수석, 의혹의 핵심인 ‘문고리 3인방’의 운영위 출석”을 요구하면서 “이들이 증인 출석을 거부하거나 청와대와 여당이 출석을 막으면 이에 대한 책임은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져야 한다”고 압박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