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절감보다 정치적 타격 우려
박대통령 “의미없다” 지시뒤
청와대·정부 요지부동
새누리 “분위기가 아냐”
새정치 “지역정서 고려해야”
박대통령 “의미없다” 지시뒤
청와대·정부 요지부동
새누리 “분위기가 아냐”
새정치 “지역정서 고려해야”
평창 동계올림픽 ‘국내 분산개최’ 논의에 ‘물꼬’를 트려면 결국 대통령과 정치권이 먼저 결단을 내리고, 이어 국민들을 설득하는 공론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청와대와 정치권 모두 분산개최 논의 자체를 극도로 꺼리고 있다. 분산개최를 통해 얻게 될 실질적 예산절감 효과보다, 이 문제를 제기했을 때 입게 될 정치적 타격 등을 더 우려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국내든 해외든 ‘분산개최’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자체부터 피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가 처음 논의됐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이미 각 경기장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분산개최 논의는 의미가 없다. 정해진 계획대로 착실하게 준비작업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이후 요지부동이다. 박 대통령 발언은 당시 일본과의 분산개최 논의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안팎에서 나오려 하자, 이를 초기에 봉쇄하려는 모양새였다. 하지만 올림픽 개최가 ‘나라’가 아닌 ‘도시’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분산개최 반대’ 의견은 ‘국내 분산개최’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듯한 분위기다. 익명을 요청한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청와대가 ‘분산개최’ 논의에 대해 어떠한 언급을 하는 것 자체가 또다른 논란을 낳을 수 있다”며 “새해 들어서는 분산개최를 검토한 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새누리당 역시 ‘너무 늦었다’는 기류다. 강원도가 지역구인 권성동(강릉) 의원은 “동계올림픽을 유치할 때 ‘경기장들을 가까이에 콤팩트(compact·조밀)하게 배치하겠다’고 약속했었다”며 “지역균형발전 측면도 고려해야 하고, 분산개최를 하지 않는다는 게 지역 주민들에게 한 약속이다”고 말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신성범 의원도 “이미 공사가 많이 진행됐고 강원도 의원들의 의견도 있어서 상임위 차원에서 분산개최 문제를 꺼낼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동계스포츠 기반이 약한 우리나라가 동계올림픽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고 ‘김연아 바람’까지 더해져 지금까지 흘러왔다”며 “정신 차리고 보니 비용 문제 등이 심각하지만 그냥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소극적이긴 마찬가지다. 총선을 불과 1년 남짓 앞둔 시점에서 지역 정서를 거슬러가며 분산 개최를 옹호하기가 부담스런 탓이다. 국회 교문위 새정치연합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비용만 따지면 분산개최가 유리하지만, 지역 정서와 균형 발전 등 고려해야 할 측면이 많기 때문에, 종합적 판단이 필요하다”며 말을 아꼈다. 새정치연합 소속의 또다른 교문위원은 “취약지역인 강원에서 고군분투하는 당 소속 최문순 지사를 외면할 수 없지 않으냐”며 “지역의 표를 의식할 수밖에 없는 정치권보다는 중앙정부가 나서 지역민과 체육계를 설득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석진환 황준범 이세영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