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이번주 출범
여야가 지난 10일 합의한 대로 선거구 재획정 등을 논의할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의 첫 회의가 오는 19일 열린다. 이에 따라 여야는 늦어도 18일까지는 위원장과 간사, 위원 명단을 확정해야 한다.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문제와 선거제도 개편 등 정치개혁 전반을 다루는 만큼 기대감이 높은 반면, 이전처럼 ‘제 밥그릇 지키기’ 행태를 반복하면 별다른 결과물이 없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여야는 정개특위는 위원장을 포함해 여야 각 10명씩(새누리당 10명, 새정치민주연합 9명, 비교섭단체 1명) 모두 20명으로 꾸리되, 선거구 변경 가능성이 있는 약 60여개의 지역구 의원은 특위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다. 새누리당 몫인 위원장에는 4선의 이병석·이주영·이한구 의원이 거론되는 것을 비롯해 3선의 김태환·안홍준 의원 등 10여명의 후보군이 위원 물망에 오르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특위에 참여할 9명의 의원을 사실상 확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새정치연합 원내 핵심 관계자는 “선거구 합·분구 대상 지역 의원들을 배제하고, 여성 2명과 초재선, 중진 의원들을 고루 배치했다”고 말했다. 애초 당 공천혁신추진단장 내정설이 돌았던 박영선 의원의 특위 참여와 관련해선 “두고 보면 알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정개특위가 구성되면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른 선거구 획정 문제와 함께 지난달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법 개정 의견으로 제시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여부와 의원 정수 및 지역구·비례대표 비율 조정 등 선거제도 개편을 비롯한 정치개혁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선거구 획정, 비례대표 비율 조정 등이 국회의원들의 사활이 걸린 문제라 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새누리당의 한 영남지역 의원은 “선거구 획정 문제는 여야를 불문하고 의원들의 정치적 생명과 직결된 만큼 여야가 정개특위를 구성해 시간만 끌다가 흐지부지 마무리될 수 있다”며 “선거를 44일 앞두고 부랴부랴 선거구 획정을 하고 활동을 마감한 2012년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경욱 이세영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