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위공직자 중 최고 부자는 청와대에서 공직자 비위 감시 업무를 총괄하는 우병우 민정수석비서관으로 나타났다.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등의 2015년 재산 현황을 보면, 우 수석은 409억원의 재산을 신고해 행정부 소속 정무직·고위공무원단 가등급(1급) 및 국립대 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자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 1825명 가운데 가장 재산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재산은 부동산과 예금을 합쳐 31억7천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억3600만원 정도 늘었다. 박 대통령은 재산증가 이유로 ‘인세 등 예금액 증가’를 사유로 밝혔는데, 청와대는 “연봉 저축 외에 자서전 등이 국내 및 중국에서 많이 팔려 인세 수입이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의 지난해 연봉은 1억9255만원이었다.
비서관급 이상 청와대 참모 50명의 평균 재산은 25억원 정도로, 우 수석이 평균치를 높이긴 했지만 전체 재산공개 대상자 1825명의 평균인 12억9천만원의 2배에 가까웠다. 이병기 비서실장이 27억원을 신고했고, 조윤선 정무수석(45억원), 민병호 뉴미디어비서관(29억원), 전성훈 안보전략비서관(27억원), 김동극 인사비서관(26억원), 박종준 경호실 차장(25억), 정진철 인사수석(23억) 등도 각각 2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다. 가장 재산이 적은 사람은 -2억1638만원을 신고한 김상률 교육문화수석이었다.
박 대통령 ‘측근 3인방’의 재산을 보면,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전년보다 3천만원 증가한 9억6천만원, 정호성 부속비서관이 1억원 가량 늘어난 11억9천만원, 안봉근 국정홍보비서관이 6천만원 줄어든 7억2천만원 등이었다. 공교롭게도 세 비서관 모두 지난해 대출을 받아 강남에 집을 구입한 뒤 세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처 장관 16명(해양수산부 장관 제외)의 평균 재산은 18억5천만원이었다. 이들 중 가장 재산이 많은 인사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전년에 비해 1억8천만원 늘어난 47억7천만원을 신고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32억7천만원을 신고해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2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각료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25억4천만원),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24억7천만원), 황교안 법무부 장관(22억6천만원) 등이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