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하 순천향대 교수
[인터뷰] 절충안 낸 김용하 교수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대타협기구)가 활동 종료 하루를 앞둔 27일 공무원연금 개편의 기본 틀에 합의했다. 그동안 협의를 주도해온 여야 추천위원에게 이번 합의의 의미와 전망을 들어본다.
새 절충안, 기여율 높아져
곧바로 재정절감 효과도 대타협기구 연금개혁분과위원회의 새누리당 추천 위원인 김 교수는 27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미래세대나 국민의 부담을 줄이는 면에서는 신구 공무원 처우를 분리한 새누리당 안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가입자단체가 받아들일 수 없다면 계속 고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신규-재직 공무원을 나눠 재직 공무원은 ‘더 내고 덜 받도록’ 조정하고 신규 공무원에게는 국민연금 수준의 기여율과 지급률을 적용하도록 한 새누리당 안을 만든 당사자이기도 하다. 그는 “새누리당 안을 입안한 학자로서, 대타협기구가 빈손으로 마무리되지 않도록 새로운 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기여율 10%, 지급률 1.65%’를 제안한 배경에 대해서는 “추가 재정부담이 생기지 않는 수지균형점이 1.65%”라고 설명했다. 공무원노조 등 가입자단체를 포용하기 위해 ‘구조개혁안’을 포기하더라도, 추가 재정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1.65%나 야당이 주장하는 1.7%나 재정부담에 있어 큰 차이는 나지 않지만, 1.65%가 적자가 나지 않는 수지균형점이고 1.7%가 되면 이 균형이 무너진다”며 “국민에게 더 이상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주는 상징적 숫자”라고 강조했다. 또 기존 새누리당 안은 기존 가입자가 사망하고 국민연금 산식을 적용받는 신규 공무원들이 수급권자가 되는 2040년 전후까지는 재정적자가 불가피하지만, 새로 제기한 안은 기여율이 높아져 곧바로 재정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