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자리에 앉으며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오른쪽은 친박근혜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새누리당 ‘원내대표 축출’ 그 이후] ③ 여권 분화 가능성 있을까
“김무성 상향식 공천 강행과
박 대통령 자기세력 구축 ‘결투’
그 와중에 박 대통령 탈당할 수도” 새누리당 개혁보수 세력과 새정치민주연합 일부 세력이 합쳐서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방안을 언급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아직은 미완성 시나리오에 불과하다. 한 고참 보좌관은 “신당이 뭐 정치인 한둘 뭉친다고 되겠냐. ‘양김시대’처럼 카리스마가 강한 지도자에 의한 창당은 어렵다. 잠재적 대선주자군의 병렬적 연합은 논리적으로 가능하지만 그러자면 엄청나게 선의로 가득찬 주자들이라는 전제가 먼저 성립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역동성과 예측불가는 정치의 본질이다. 유승민 사태가 결국은 새로운 정치질서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보는 사람들이 여권 내부에 존재한다. 정두언 의원은 <한겨레티브이(TV)> ‘정치토크 돌직구’에 출연해 “양당체제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새누리당도 분열이 내연하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친박 영남 티케이 패권만 쥐고 있으면 된다는 생각에 국민들이 염증을 느낄 것이다. 이럴 때 새로운 운동이 나타나면 거기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어떻게 하자는 것일까. “제2의 안철수가 나와야 한다. 대체 인물이 없다면 대체 그룹이라도 나와야 한다. 작금의 여야를 뛰어넘는 새로운 정치세력의 출현이 간절히 필요하다. 지금 말없는 다수 시민들은 이 일을 해낼 용기있는 신진 정치인들의 연대를 갈망하고 있다.” 정두언 의원이 정치 외부에서 변화의 동력을 찾는 것과 달리 여권 내부의 권력투쟁이 심화하면서 내년 총선에서 파란이 일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최근 사건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수도권의 한 의원이 의미심장한 분석과 전망을 내놓았다. “최근 사태를 대하는 태도가 친박 세력 안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충청권은 박근혜 대통령이 탈당하면 망하지만 티케이는 진짜 탈당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박근혜 대통령이 탈당해야 한다는 강경론을 행정부와 청와대에 포진한 티케이들이 건의한 것으로 안다.” “문제는 내년이다. 김무성 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나 상향식 공천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이다. 김무성 대표가 의원들에게 ‘(공천개혁을) 진짜로 한다. 어려워지면 당신들이 나를 도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은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자기 세력을 구축하려고 한다. 따라서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 사이에 ‘티케이 목장의 결투’가 벌어지고 그 와중에 박 대통령이 탈당할 수 있다.” 하긴 앞날은 알 수 없는 것이다.<끝>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