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최고위원(오른쪽)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와 관련해 김무성 대표(왼쪽)의 발언을 비판한 뒤 물을 마시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새누리당 내의 친박근혜(친박)계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한 책임을 제기하며 ‘김무성 흔들기’에 나섰다. 윤상현 청와대 정무특보의 ‘김무성 대선 후보 불가론’에 이어 나온 것으로,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계파간 공천 주도권 다툼이 일찌감치 가시화하는 모습이다.
김무성 대표는 17일 아침 일찍 당 국민공천제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당론으로 채택한 오픈프라이머리를 여당 단독으로라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대표는 이어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의 중앙위를 통과한 공천제도는 그동안 문재인 대표가 공약한 오픈프라이머리와 거리가 먼 반개혁적, 반혁신적 제도”라며 “우리 당은 공천권을 국민들에게 돌려드리는 것이 최고의 정치개혁이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마이크를 넘겨받은 ‘친박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김 대표의 발언을 즉각 맞받아쳤다. 서 최고위원은 “야당 혁신안 통과로 여야가 함께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려고 했던 것이 어려움에 봉착했다”며 “김무성 대표가 ‘정치적 생명을 걸고 관철하겠다’고 한 것을 포함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국정감사 이후 김 대표가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 최고위원은 회의 뒤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김 대표가) 어물쩍 넘어가면 안 된다. 시간이 없다”고 김 대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비공개회의에서 김 대표에게 거취 표명과 관련한 이야기를 했는가’라는 질문에 “그런 얘기도 했다”며 속사정을 숨기지 않았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치적 생명’을 걸겠다는 약속을 이행하라고 사실상 요구한 것이다.
김 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서 최고위원의 오픈프라이머리 대안 요구에 대해 “(오픈프라이머리를 하겠다는) 입장을 누누이 밝혀왔는데 더 이상 무슨 입장을 밝히나”라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저 혼자만의 주장이 아니고 의총을 거쳐 당론으로 채택한 제도다. 서 최고위원도 지난 경선 때 그(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고 서 최고위원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천 개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친박들로선 ‘김무성 체제의 오픈프라이머리’는 넘어야 할 산이다. 특히 현역 의원들 대부분이 이 제도를 선호하는 입장이어서 공천이 가까워지면 당 주도권이 김 대표에게 넘어갈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김재원 의원을 비롯해 이정현 최고위원 등 친박 핵심들이 김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에 꾸준히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온 이유다.
새누리당의 한 수도권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최근 사위 마약 투약 사실이 알려지면서 김 대표가 정치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이자, 친박들이 ‘물 들어왔을 때 노 젓는 식’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박 대통령 지지율이 50%를 회복한 점도 친박들이 더욱 자신있게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인 것 같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