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명분도 실익도 못얻은 비주류

등록 2015-09-21 19:59수정 2015-09-21 21:42

연석회의 보이콧 등 세 못모아
장외 여론전도 설득력 못얻어
“문대표 비판은 계속할 것”
21일 낮에 있었던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 오찬에는 김영환·문병호·최원식·신학용 의원 4명만 참석했다. 한 참석자는 “국정감사 기간이라고 쳐도 평소 8~10명이 함께 오찬을 했던 것에 비하면 모인 숫자가 적었다”고 말했다. 이번 ‘재신임 정국’을 거치면서 옹색해진 비주류의 입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혁신위원회가 만든 국민공천안에 대해 반발했던 비주류는 문 대표가 ‘재신임 투표’ 카드를 꺼내들자 전략적 대응을 하지 못했다. 이종걸 원내대표가 재신임 투표 대신 조기전당대회를 소집하자고 맞섰으나 별다른 반향이 없었다. 이후 비주류들은 중앙위·연석회의 보이콧, 언론을 상대로 한 ‘장외여론전’을 펼쳤으나 세를 모으지 못했다. 현역 의원 60%가 참석한 전날의 연석회의에서 ‘더이상 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배제한다’고 결론이 난 것은 비주류의 주장이 당내에서 별로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민집모 모임 뒤 문병호 의원은 “어제 회의는 일종의 간이 재신임 절차라고 봐야하는데, 우리는 원래 천명했던 대로 불참했다. 거기서 발표된 합의문에 대해서도 우리는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표 비판을 멈추지 않겠다는 뜻이었다.

비주류 성향의 한 당직자는 “비주류들은 현 지도부로는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위기감이 컸기 때문에, 원한 것은 문 대표의 사퇴였다”며 “그러나 4·29재보선 참패 직후 지도부에 책임론을 묻지 않고 어물쩍 넘어간 데다가, 문 대표가 혁신한다는데 이제와서 사퇴를 요구하기엔 명분이 딸렸다. 그러다보니 보이콧 같은 소극적인 행보로 일관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비주류도 의원들을 규합해서 실력을 보여줘야 했다. 그저 ‘반쪽 연석회의’, ‘반쪽 중앙위’를 만드는 것 말곤 대안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간에도 새정치연합 의원 중 비주류 숫자는 그리 많지 않았다. 수도권의 한 비주류 의원은 “비주류의 대표 조직으로 여겨지는 민집모 회원 중 정기적으로 회의에 나오는 이들은 10명 정도이고, 비주류를 다 모으면 30명 안팎”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비주류의 목소리가 힘을 받는 이유는, 안철수·박지원·박영선·김한길 의원 등이 ‘산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판’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이들이다. 문 대표 진영에서 “한줌 밖에 안되는 비주류”라고 평가절하하면서도 비주류의 비판에 예민한 이유다.

이 때문에 문 대표가 정치력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비주류와의 갈등이 재연될 거란 예측이 많다. 한 당직자는 “어제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은 ‘정기국회 끝날 때까지는 싸우지 말자’는 표현을 썼다. 말그대로 봉합이다. 문 대표가 당내 민주주의를 관리하면서 앞으로 벌어질 비주류와의 국지전을 최소화한다면 승산이 있지만 반통합적 태도를 보인다면 언제든 비주류가 힘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이승준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