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등 중도파 이틀전 주장땐
“이미 지나간 얘기” 거부
“당 단합이 먼저” 단서 달았지만
비주류 조기전대 주장과 차이 판단
가능성 열어둬 태도 변화
“이미 지나간 얘기” 거부
“당 단합이 먼저” 단서 달았지만
비주류 조기전대 주장과 차이 판단
가능성 열어둬 태도 변화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최근 제기된 ‘통합전당대회론’에 대해 문재인 대표가 7일 “통합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총선 이전 새로운 지도체제 구성을 요구해온 목소리에 일부 응답한 것으로 비칠 여지가 있다. 문 대표는 그러면서도 “당의 단합이 먼저이고 다음이 통합이다. 또 통합의 대상들에게 아무런 의사 타진이나 합의 없이 이렇게 통합전당대회를 얘기하는 것은 조금 시기가 이르다고 본다”며 여러가지 전제와 단서를 달았다.
지난해 비상대책위원장을 했던 박영선 의원은 지난 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내년 총선 승리와 2017년 정권 교체를 위해 탈당·신당파를 포함한 모든 야권이 ‘빅텐트’ 안에 뭉쳐야 한다며, 늦어도 내년 1월까지는 통합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의 발언이 알려진 직후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통합 전대 주장은) 이미 지나간 얘기 아닌가요”라며 거부 뜻을 내비친 바 있다.
문 대표 쪽은 그동안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해 비주류에서 주장했던 조기전당대회론에 대해선 ‘지도부 흔들기’라고 강경한 자세를 취해왔다. 이 때문에 문 대표가 이날 전제 조건을 달면서도 통합전대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은 태도가 다소 유연하게 바뀐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문 대표가 원론적 차원에서나마 공감을 표한 것은 당내 비주류 세력인 민주당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과 박영선 의원이 속한 중도파 의원들의 ‘통합행동’은 차이가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 의원이 공개적으로 통합전대를 주장한 이후 문 대표 쪽은 여러 경로를 통해 박 의원과 통합행동 소속 의원들의 진의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통합행동을 민집모와 함께 ‘비주류’로 묶어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별 이득이 없다는 계산도 내린 것 같다. 문 대표는 지난 6일 측근들에게 “민집모의 조기전대 주장과 통합행동의 통합전대는 차원이 다른 얘기”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여전히 문 대표 쪽은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한 측근은 “통합전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는 발언은 ‘우리 당 단합이 우선’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완곡히 재확인한 것으로 보면 된다”며 “일단 우리가 먼저 단합하고 그 뒤에 정의당이든 신당 세력이든 화학적 결합을 할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전당대회든 뭐든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