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계의 ‘친박 비대위’ 비판 일축
“친박=책임=후퇴 논리 옳지 않아”
“친박=책임=후퇴 논리 옳지 않아”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확정한 당 쇄신 방안이 또 다시 당내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 역할을 축소하고 쇄신작업은 별도로 구성되는 혁신위원회에 맡긴다는 투트랙 방안이 총선 참패 책임론을 희석시키기 위한 친박근혜계의 뜻을 반영했다는 것이다.
비박계인 김영우 의원은 12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한 것은 당 혁신을 부차적인 것으로 여긴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비박계인 홍일표 의원도 “혁신형 비대위를 꾸려 두세 달이라도 고통이 따르는 변화를 하려는 모습을 보여줘야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빨리 얻어올 수 있는데 그런 것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정 원내대표와 당 상임고문의 오찬에서도 “혁신위 따로, 비대위 따로 만드는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정 원내대표는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이날 아침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당이 친박계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은 가소롭다. 새누리당을 재창조하는 수준의 혁신위원회가 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지도자급이면 몰라도 친박이라 분류되는 사람들이 뭘 잘못했나”라며 “‘친박=책임=후퇴’ 논리는 맞지 않다. 중립적인 위치에서 보더라도 친박, 비박 다 책임이 있다. 계파가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_#18_무기력한 새누리당의 한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