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수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 한겨레 자료사진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의 업무와 관련한 업체로부터 경기도 용인의 88평 아파트를 시세보다 싸게 구입하고, 매입 자금은 농협으로부터 ‘전액’ 대출받는 등 ‘갑질 재테크’로 수억원의 차익을 남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낸 자료를 보면, 김 후보자는 2001년 10월 식품 분야 대기업인 ㅅ기업의 계열사가 분양한 88평의 아파트를 4억6천만원에 매입하면서 1년전 분양 당시보다 2억1천만원이나 싸게 구입했다. 이 과정에서 김 후보자는 자신의 돈은 전혀 들이지 않고 아파트 구입 비용 전액을 농협으로부터 대출받았다.
김 후보자는 이 아파트를 사들인 지 1년 뒤 주미대사관 참사관으로 발령이 났는데, 이때 ㅅ업체는 기업 명의로 3억원의 전세 입주를 했다. 김 후보자는 이 전세금으로 농협 대출 일부를 상환해 연간 2400만원(당시 대출금리 8% 기준) 정도의 대출 이자를 절감하기도 했다. 이후 2006년 미국에서 돌아온 김 후보자는 이 아파트를 8억700만원에 팔았다. 투자금 없이도 3억4700만원의 시세차익을 거두게 된 것이다.
김 의원은 이날 더민주 정책조정회의에서 “김 후보자는 아파트를 살 때 농협에서 전액 대출 받아 자기 돈은 한푼도 안들어갔다”며 “(아파트 매입) 당시엔 농수산 유통국장 시절인데 농식품부 고위직에 있으면서 (업무)관련 식품 계열 대기업이 분양한 아파트를 싸게 구입했다. 그리고 하필 그 집에 이 기업이 전세를 들어왔다. 이를 우연의 일치로 볼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앞서 김 후보자는 2007~2014년까지 용인의 93평 아파트에서 시세보다 낮은 1억9000만원에 전세를 들고 이후 7년동안 단 한번의 전세금 인상 없이 거주한 사실이 밝혀져 ‘헐값 전세 특혜’ 의혹을 받았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