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의장이 2선후퇴 확인했어야”
유승민 “수습 실마리 제공 평가”
정병국 “일단 공이 국회로 돌아와”
이정현 ‘재창당위원회 구성’ 얘기돌자 “사실 아냐”
유승민 “수습 실마리 제공 평가”
정병국 “일단 공이 국회로 돌아와”
이정현 ‘재창당위원회 구성’ 얘기돌자 “사실 아냐”
박근혜 대통령에게 탈당까지 요구하며 날을 세워온 새누리당 비박근혜계는 8일 박 대통령이 김병준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을 사실상 철회할 뜻을 밝히자 ‘미흡한 점이 있지만 사태 수습의 실마리는 제공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제 여야와 청와대가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를 시작해야 할 때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김무성 전 대표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사태를 수습할) 물꼬는 텄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국회에 총리 추천을 요청했다는 것만 듣고서는 ‘아주 잘했다’고 봤지만 그밖에 야당이 말하는 ‘대통령의 2선 후퇴’ 등에 대해선 이야기 안했다는 것 아니냐”며 한계를 짚었다. 그는 “국회의장이 (2선 후퇴, 탈당 등 요구를) 확인하고 이야기해야 했는데…”라며 아쉬워했다.
유승민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박 대통령이 사태 수습의 실마리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국민적 요구에 미흡한 부분이 있지만, 대통령이 야당 주장을 일부 수용했다”며 “총리의 권한행사 범위 등 불명확한 부분에 대해 논의하고 거국내각과 특검 등에 대해 협의하기 위해 여야 정치권이 사태 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정병국 의원은 통화에서 “형식은 썩 마음에 들지 않지만 일단 공이 국회로 돌아왔다고 본다”며 “이젠 대통령과 여야 대표자들이 대화의 장을 갖고 직접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사태 수습의 단초가 마련된 것 같다. 부족한 점이 있다면 여·야·청 영수회담으로 잘 풀어가서 거국중립내각이 조속히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비박계는 그러면서, ‘버티기’를 이어가는 ‘이정현 지도부’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친박계 주류와 거리를 둬온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만일 당이 분열한다면 박근혜 대통령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어막이 무너지게 된다. 당의 분열을 막아 대통령을 지킬 수 있는 이정현 대표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리겠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김무성 전 대표도 기자들을 만나 “당 지도부는 현 사태를 대통령과의 의리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데 그런 마인드로 상처 난 국민의 마음을 달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당 인재영입위원장직에서 사퇴한 뒤 페이스북에 “당이 곪아터진 환부를 도려내고 중도보수 가치의 구심점으로 다시 서려면 이제는 강성 ‘진박’이 후퇴할 때”라고 적었다.
그러나 이정현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퇴 거부 뜻을 거듭 확인했다. 이날 당 안팎에는 ‘이 대표가 곧 재창당위원회 구성 등 당 혁신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얘기가 돌았으나, 이 대표와 주요 당직자들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