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등 연일 “탄핵으로 정국 수습”
국회 탄핵안 통과 ‘캐스팅보터’ 자임
최순실 사태 면책 등 부수효과 노려
국회 탄핵안 통과 ‘캐스팅보터’ 자임
최순실 사태 면책 등 부수효과 노려
야3당이 하야나 탄핵 등과 관련해 통일된 대응 태세를 갖추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는 사이에, 오히려 새누리당 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탄핵 절차에 돌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총선 이후 이렇다 할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던 새누리당 내 비주류가 ‘탄핵’ 카드를 활용해 야당과 새누리당 친박계를 동시에 압박하고 나선 모양새다. 전날 당 비상시국회의에서 “대통령의 거취 결단”을 촉구했던 원희룡 제주지사는 이날 <교통방송>(TBS) 라디오에 나와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려면) 여당에서 29명만 찬성을 하면 된다. 그 정도는 상황에 따라서 가능한 형세라는 판단이 든다”고 밝혔다. 당내 비박계에서 가장 많은 의원들을 움직일 수 있는 김무성 전 대표가 탄핵에 적극적인 점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김 전 대표는 이날도 “국정 마비를 질서있게 수습하는 헌법적 절차는 탄핵”이라고 강조하면서, “탄핵안 투표는 의원 자유의사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뭉쳐 탄핵 대열에 합류하면,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찬성 200명 이상)할 가능성이 크다. 탄핵안 통과에 ‘캐스팅 보트’를 쥔 비박계는 최근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계 당 지도부의 ‘버티기’에 매우 격앙돼 있다. 당내 대선주자들도 탄핵을 선택해 최순실 사태에 대한 ‘정치적 면책’을 받는 동시에, 이참에 친박계와 확실히 선을 그으며 정치적 활로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비박계 의원은 “비주류 입장에서 보면 헌재의 탄핵심판 결과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시도 자체가 당내 비주류의 여러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다만 확실한 구심점이 없는 비주류로선 청와대가 지금보다 강도 높은 추가 수습책을 내놓는 등 향후 또다른 돌출변수가 등장할 경우 이에 출렁일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