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저녁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된 ’모이자! 분노하자! 내려와라 박근혜 2차 범국민행동' 행사가 끝난 뒤 시민들이 자유발언을 들으며 하야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박근혜 대통령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책임을 지고 퇴진하거나 탄핵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 조사 결과 17일 나타났다. 퇴진·탄핵 여론은 42.3%(10월25일)→55.3%(11월2일)→60.4%(11월9일)→73.9%로 줄곧 높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 지지율도 전주 대비 1.6%포인트 떨어진 9.9%를 기록해,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 취임 뒤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내려앉았다.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43.5%로 가장 높았고 ‘탄핵으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20.2%, ‘즉각 사퇴 후, 현 황교안 총리가 권한 대행을 해야 한다’는 10.2%로 나타났다. 모두 합쳐 사퇴·탄핵 의견은 73.9%다. 반면 ‘임기를 유지하고, 국회 추천 총리에게 내각 통할권만 부여해야 한다’는 견해는 18.6%에 그쳤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과도내각 구성 후 즉각 사퇴’ 여론이 가장 높았다. 광주·전라 지역에서 과도내각·사퇴 의견이 55.9%였고 경기·인천은 49.2%, 부산·경남·울산은 43.0%, 서울 42.3%, 대전·충청·세종은 35.0%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지역은 임기유지·내각통할권부여 의견이 29.5%, 과도내각·사퇴 견해가 24.9%로 조사됐다.
한편, 박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1.6%포인트 하락한 9.9%를 기록해 한 자릿수로 내려앉았고,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지난주보다 2.0%포인트 상승한 85.9%로 나타났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격차는 지난주 72.4%에서 76.0%로 확대돼 취임 뒤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통령 지지율은 거의 모든 지역·나이층·지지정당·이념성향에서 한 자릿수였다. 지지율 두 자릿수를 기록한 60대 이상, 보수층,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도 긍정평가는 취임 뒤 최저치, 부정평가는 취임 뒤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으로 불리는 대구·경북 지역의 지지율이 유일하게 지난주보다 4.5%포인트 오른 19.8%를 기록했다.
정당별 지지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주보다 1.5%포인트 하락한 30.5%를 기록했다. ‘추미애 영수회담 소동’ 탓으로 풀이되는데 1위 자리는 유지했다. 당내 분란이 최고조를 보인 새누리당은 지난주보다 1.0%포인트 떨어진 18.2%를 기록해, 7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국민의당은 1.7%포인트 오른 17.0%, 정의당은 1.5%포인트 상승한 7.7% 지지율을 기록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뚜렷하고 일관된 대응책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박 대통령의 책임방식 여론조사는 16일 전국 19살 이상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벌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4.3%p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와 정당 지지도 조사는 14~16일 전국 성인 152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고.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