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JTBC 뉴스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인터뷰. JTBC 갈무리
28일 저녁 ‘JTBC 뉴스룸’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생방송 출연만으로 화제가 됐다. 방송 전 누리꾼들은 ‘지지율 1위 차기 대선주자’와 ‘신뢰도 1위 언론인’의 훈훈한 만남을 예상했지만, 실제 방송은 예상을 크게 빗나갔다.
인터뷰는 같은 날 저녁 긴박하게 돌아간 친박 중진들의 ‘박 대통령 퇴진 건의’에 대한 문 전 대표의 의견을 듣는 것으로 시작했다. 문 전 대표는 “친박까지 퇴진을 말하게 됐으니 박 대통령이 탄핵을 기다리지 말고 즉각적으로 자진해서 물러나는 게 답”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만약 국회가 탄핵 절차에 착수했는데 의결을 막거나 늦추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다면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친박 세력에 경고했다. 문 전 대표는 ‘국가와 국민, 박 대통령의 명예를 최소한이나마 지키는 길은 탄핵이 아니라 하야’라며 ‘박 대통령의 무조건 즉각 퇴진’을 거듭 촉구했다.
손석희 앵커가 “즉각 퇴진 다음은 조기 대선이다. 법적으로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는데 그것까지 염두에 둔 발언이냐”고 묻자 문 전 대표는 “그렇게 헌법적 절차가 규정되어있고, 그것이 만약 다음 대선을 치르기 위해 무리하다면 더 합리적인 결정을 국민이 공론을 모아 해주지 않겠느냐”고 답변했다. 이에 손 앵커는 “헌법에 그렇게 정해져 있다면 국민 의견을 떠나 60일 이내 조기 대선을 해야 하는데, 그것도 받아들일 수 있느냐는 질문”이라며 의도를 설명했다. 문 전 대표는 “기본은 헌법 절차를 따르는 것이나 ‘상황’에 따라서는 국민 의사를 존중해서…”라며 같은 답변을 반복했다.
‘그 상황’의 예를 들어달라는 앵커의 요청에 문 전 대표는 “조기 대선 상황에 각 당이 제대로 대선 준비를 하기 어렵고, 국민이 제대로 후보를 선택하기 어렵다면 당연히 국민이 의견을 표출할 것이고, 정치권은 (이를 수렴해야 한다)”고 답했다. 대선까지 60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겠냐는 앵커의 질문에 문 전 대표는 “친박의 퇴진 표명 소견은 그런 모색까지 해보자는 뜻이 담겨있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이후 문 전 대표와 손 앵커는 탄핵 의결에 대한 전망, 탄핵 사유 추가 가능성 등 다른 화제를 이야기하는 도중에도 같은 취지의 질문과 답변을 반복했다. 인터뷰가 끝나기 전 문 전 대표가 “지금으로써는 헌법 절차를 지키는 것 이상으로는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입장을 밝히자 손석희 앵커는 “아까 다른 단서를 계속 붙였기 때문에 보충 질문을 많이 던졌다”며 질문 의도를 밝히고 인터뷰를 마쳤다.
방송이 나간 직후 ‘문 전 대표에게 혼란스러운 탄핵 정국을 마무리해야 하는 차기 대선 주자로서의 결기가 없다’, ‘자기가 원하는 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손 앵커가 무리하게 질문을 반복한다’ 등 두 사람에 대한 ‘인상비평’이 먼저 나왔다. 그러나 현재 ‘지지율 1위’인 대선 주자가 조기 대선을 환영하는듯한 발언을 했을 때 불어올 ‘역풍’을 예상해 문 전 대표가 현명하게 대응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 누리꾼은 “만약 문 전 대표의 입에서 조기 대선과 비슷한 말이 나왔다면 더불어민주당은 분열되고, 종편은 하루 종일 ‘대통령병에 걸렸다’고 내보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인터뷰 다음날인 29일 오전 자신의 트위터에 “60일 내 대선 치르도록 헌법 규정 있으니 ‘내가 나갈 겁니다’ 문 전 대표가 이렇게 대답했어야 하나요? 헌법과 국민의 뜻 외에 달리 뭐라 하지요?”라고 썼다.
화제에 따라 각도를 바꿔가며 같은 취지의 질문을 자연스럽게 던진 손 앵커의 진행 역시 ‘국민의 알 권리’ 측면에서 당연한 자세라는 평가도 반박성으로 제시됐다. 한 누리꾼은 “손 앵커는 어떻게든 문 전 대표의 이후 행보를 알고 싶어 같은 질문을 반복했고, 문 전 대표는 끝까지 신중하게 나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른 한 누리꾼은 “정치인은 자신의 소신대로 답하고, 앵커는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질문을 던지는 것인데 승패가 어디 있느냐”고 시청 소감을 남겼다.
조승현 기자
sh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