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규 전 세계일보 사장이 “아직 세계일보가 미공개한 8개 문건 중에 대기업 비리 관련 내용이 있고 청와대가 이를 미르·케이스포츠 재단 (모금)에 활용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한규 전 세계일보 사장은 15일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4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세계일보가 아직 보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8개 미공개 문건에 대해 묻는 최교일 새누리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진행 중인 제4차 청문회에서 최교일 의원은 조 전 사장에게 “양승태 대법원장 사찰 관련 문건 이외에도 8개의 특급 정보가 있다고 했다. 여기서 소개할만한 내용은 없냐”고 물었다. 이에 조 전 사장은 “내가 직접 문건을 가지고 있진 않고 취재팀으로부터 구두로 보고를 받았다. 박지만 가족에 관한 비위사실 몇 건과 대기업 비리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 전 사장은 “미르·케이스포츠 재단 사건이 터지고 나서 내가 판단할 땐 청와대가 대기업 비리를 입수한 것은 (재단 모금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사전에 구체적으로 조율된 조사 의혹을 제기했다.
또 조 전 사장은 “‘양승태 대법원장 사찰’ 문건과 아직 미공개된 8개 문건 모두 공직비서관실에서 일괄해 당시 민정수석과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보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2015년 1월 ‘정윤회 문건은 사실이 아니다’는 검찰 수사결과 발표 뒤 최순실씨가 모스코스, 더블루케이 등 회사를 설립, 이권에 본격 개입했다”는 최교일 의원의 말에는 “당시 검찰 수사결과를 전혀 납득할 수 없었다”며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유진 임지선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