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8 합의 환영” 입장 바꿀까?-
내일 귀국때 입장 언급 가능성
피해자·인권 중시 원칙 재확인할 듯
내일 귀국때 입장 언급 가능성
피해자·인권 중시 원칙 재확인할 듯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12·28 한-일 합의를 “환영”하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오는 12일 귀국하는 그는 정반대의 여론 앞에 어떤 입장을 내놓을까.
반 전 총장 쪽 전략기획팀 소속 한 인사는 10일 이에 대한 입장을 묻는 <한겨레>의 질문에 “(12·28 합의 등 외교 사안은) 반 전 총장의 전문 분야다. 귀국 때 언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들의 예상 질문 중 하나로 준비해놨다는 뜻이다. 또다른 한 측근은 “피해자 입장을 제대로 반영한 재협상을 주장하는 국내 여론을 반 전 총장이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은 이 합의가 맺어진 2015년 12월28일(뉴욕 시각) 성명을 내어 “한-일 위안부 합의를 환영한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의 리더십과 비전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1월1일 박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박 대통령께서 비전을 갖고 올바른 용단을 내린 데 대해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은 당시 친박근혜계의 유력 대선후보로 꼽히고 있었다.
반 전 총장이 귀국하면서 밝힐 입장은, 지난해 3월11일 내놓은 해명에서 유추할 수 있다. 당시 반 전 총장은 12·28 합의에 비판 여론이 거세자 유엔을 방문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면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정부의 노력을 환영한 것일 뿐 합의 내용 자체를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반 전 총장은 이 면담 직후 별도의 발표문을 내어 “나는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와 다른 분들이 겪었던 고통에 공감한다. 희생자와 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당사자들이 인권의 원칙, 피해자 중심 원칙하에 대화를 통해 이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일 양국이 합의를 지키라는 것인지, 재협상하라는 것인지 불명확한, 외교관 특유의 두루뭉술한 입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반 전 총장은 귀국 때도 큰 틀에서 이와 비슷한 해법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