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해 12월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사회부총리, 외교·국방장관 등 주요 국무위원과 한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정진석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권한대행’이라는 호칭이 무색할 정도로 잦은 대외 활동을 하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설에 대해 “말도 안 되고 실현 가능성도 없는 미친 짓”이라고 지적했다.
정 전 원내대표는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의 대선 출마? 말도 안 되고 실현 가능성도 없는 미친 짓”이라며 “스스로 사임하고 이를 자기가 수리하고, 대통령 권한대행을 또다시 자기가 임명하고 대선에 출마한다?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라고 썼다. 정 전 원내대표는 이어 “그리되면 보수는 무리수를 내서라도 권력만 탐하는 족속이란 좋은(?) 교훈을 남길 것. 대선 출마설에 침묵하는 황 권한대행도 묘한 분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공직선거법 53조를 보면, 현직 공무원은 투표 90일 이전에 사퇴해야 선거에 출마할 수 있다.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재판소가 탄핵안을 인용해 올봄에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보궐선거 관련 규정에 따라 30일 전에 사퇴하면 된다고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바른정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현직 지자체장들이 직을 유지한 채 대선 경선을 준비할 수 있는 법적 근거이기도 하다.
황 권한대행 또한 조기 대선일 30일 전에 사표를 내고 이를 수리하면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본인이 낸 사표를 직접 수리해야 하고, 사표를 수리하기 전 대통령 권한대행 2순위인 유일호 경제부총리에게 임명장도 수여해야 한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는 그가 ‘셀프 사표-셀프 수리-셀프 후임자 임명’을 거쳐 여권의 대선 주자로 나설 경우 적절성을 묻는 논란이 일 전망이다.
하지만 정 전 원내대표의 주장에 누리꾼들은 그의 지역구가 충남 공주·부여·청양이라는 점을 들어 당론과 별개로 같은 지역 기반인 반기문 전 유엔 총장을 지지하고 나선 것으로 해석했다. 일부 친박 성향의 누리꾼들은 “반 전 총장의 지지율이 떨어지니 황 권한대행을 공격하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기간 동안 국정을 운영한 고건 전 대통령 권한대행에 견줘 황교안 권한대행의 대외일정 빈도가 높은 점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종합편성채널 MBN의 분석을 보면, 황 권한대행은 설 연휴 전인 지난 25일 전까지 권한대행 체제 46일 동안 100건의 대외일정을 소화했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66건의 일정을 소화한 고건 전 권한대행에 견줘 1.5배나 많은 숫자다. 황 권한대행의 노인복지시설 방문 등 현장방문 일정은 18번으로 고 전 권한대행의 6배에 달하고 간담회 일정도 11차례로 고 전 권한대행의 3배에 달했다.
조승현 기자
sh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