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베를린 구상’ 후속조처
군사회담·대북특사 파견도 검토중
군사회담·대북특사 파견도 검토중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이 6일 독일에서 밝힌 ‘베를린 구상’의 후속 조처로 북한에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을 제안하기로 했다. 통일부는 북한의 호응을 거듭 촉구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이 제안한 남북 간의 여러 과제들을 이행하기 위해서 후속 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실무회담과 적대행위 중단을 위한 군사실무회담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 파견에 대해서는 “북핵 문제 및 남북관계를 풀어나가는 데 필요하다면 추진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독일 베를린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5대 정책 방향’을 밝히면서 구체적 실천 과제 4가지를 북쪽에 제안했다. 통일부는 이들 실천 과제 가운데 정전협정 64주년(7·27) 계기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 상호 중단’과 ‘10월4일 이산가족 상봉’에 필요한 남북 접촉 방침을 밝힌 것이다. 문 대통령이 제시한 대로 오는 27일을 기해 남북 양쪽의 확성기 방송 등 적대행위 중단을 목표로 한다면, 1~2주 내 군사실무회담이 열려야 한다. 그러나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군사회담 개최와 관련해 “현재 계획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경기도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 개원 18주년 기념식에서 “북한은 머뭇거리지 말고 ‘신한반도 평화비전' 제안에 즉각 호응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북한 매체 <우리민족끼리>는 조명균 장관이 취임 직후인 지난 3일 ‘이산가족 상봉의 시급성’을 강조한 것을 “여론 기만행위”라고 비판했다. 이 매체는 지난해 9월 북한 해외식당에서 집단 탈북한 종업원 13명의 송환을 재차 요구하면서 “지금과 같이 우리의 요구를 계속 외면하면서 철면피하게 놀아댄다면 언제 가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문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 제안 이후 북쪽에서 나온 첫 반응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