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0일 오전 국회에서 연 당대표 퇴임 기자회견에 앞서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들어보이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11일 정의당의 ‘대표선수’가 바뀐다. 전국 동시 당직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새 대표가 앞으로 2년 동안 진보정치를 향한 정의당의 항해를 진두지휘하게 된다. ‘포스트 심상정’ 시대를 여는 새 대표에게는 지방선거 승리와 선거제도 개혁이라는 무거운 숙제가 기다리고 있다.
■ 진보정치 ‘3세대’의 탄생 정의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 창당을 이끈 1세대 리더십의 대표 주자는 권영길 전 의원이었다. 그리고 그의 곁엔 노회찬·심상정이 있었다. 노회찬 의원은 민주노동당 창당 부대표, 심상정 의원은 금속노조 사무처장으로서 민주노동당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민주노동당은 2004년 총선에서 10석을 얻는 ‘돌풍’을 일으켰고 세 사람 모두 처음으로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다. 진보정당의 첫 지역구 의원이었던 권영길 의원은 2007년 대선후보 경선에서 심상정·노회찬 후보와의 3파전을 펼친 끝에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로 확정됐지만 본선에서 3.0%를 얻는 데 그쳤다. 권 전 의원이 떠난 진보정당의 ‘2기 리더십’을 세운 이들은 뛰어난 의정활동, 대중적 인기와 언변으로 주목을 받았던 심상정·노회찬 의원이었다. 이제 심 의원이 대표직을 내려놓고 물러나면 진보정당에 ‘제3세대’ 리더십이 탄생하는 셈이다.
■ 당면한 과제 ‘지방선거 승리’와 ‘선거제도 개혁’ 지난5·9 대선에서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진보정당 소속으로는 최고치인 6.2%를 득표했다. 텔레비전 토론에서 거대 정당 대선 후보들을 압도해 득표율을 뛰어넘는 존재감을 보여줬다. 새로 선출되는 3세대 당 대표에게는 ‘촛불 대선’에서 확인된 정의당의 가능성을 현실정치로 연결시켜 집권을 꿈꾸는 ‘수권정당’으로 발돋움시키는 게 과제다.
당장 1년도 남지 않은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어야 한다. 정의당 고위 당직자는 “우리는 소수정당이기 때문에 원내에서 영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다. 결국 내년 지방선거를 통해 국민들의 지지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원내 6석이라는 국회에서의 현실적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단위 선거에서 국민들의 지지를 확인받는 것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선거제도 개혁도 정의당 부흥의 열쇠다. 사표가 발생하는 지역구 중심의 소선거구 제도는 거대정당이 과다하게 대표되는 ‘기울어진 운동장’이기 때문이다. 심상정 대표도 10일 국회에서 연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대표 임기 동안) 군소정당의 딱지를 떼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쉽다. 정의당이 집권정당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이 선거제도 개혁이다. 이를 위해 정의당의 모든 역량을 쏟아 부을 것”이라고 말했다.
■ 박원석 vs 이정미 내년 선거의 야전사령관이 될 당 대표 후보들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야심찬 계획을 내놨다. 박원석 후보는 “돈 걱정 하지 않고 100명의 당선자를 배출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후보는 “광역단체장은 5곳 이상 출마하고 지방 공직자 100명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조성된 후원금을 ‘지방선거특별기금’으로 편성해 전액을 후보 지원에 쓰겠다”고 말했다. 이정미 후보는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3-10-100 전략’을 구사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100만 이상의 대도시·수도권·도농복합도시, 이 세 지역에 반드시 기초단체장을 당선시켜 정의당식 혁신자치 모델을 실현”하고 “당 지지율을 10% 이상으로 늘려 전국 광역 비례의원을 10명 이상 확보하고 100명의 기초의원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두 후보 모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겠다며 선거제도 개혁을 다짐하고 있다. 이정미 후보는 “개헌 과정에서 선거의 4원칙에 ‘비례의 원칙’을 포함시키겠다”고 했고 박 후보는 “대선 결선투표 등을 도입하고 선거제도 개혁 없이는 개헌도 없다는 당론을 명확히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6일부터 온라인 투표가 시작된 정의당 당 대표 경선은 10일 현장투표를 거쳐 11일 오후 6시까지 자동응답(ARS) 전화 투표가 진행되며 밤 10시께 당선자가 확정된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