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조사결과 시행 1년을 맞은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법)’을 지금처럼 유지하거나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41.4%로 집계됐다.
25일 리얼미터가 <시비에스(cbs)> ‘김현정의 뉴스쇼’의뢰로 지난 22일 전국 성인 5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표온오차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를 보면, ‘김영란법’에 대해 “현행대로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1.4%로 가장 높았다. 또 “현행대로 유지하되, 국내산 농축산물에만 예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25.6%)과 “식사 10만원, 선물 10만원, 경조사 5만원 등으로 일제히 개정하는 것(기준금액 상향)이 바람직하다”는 응답(25.3%)이 뒤를 이었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사무직과 무직에서는 현행유지 강화 의견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가정주부·노동직·농림어업 종사자들은 국내 농축산물 예외 유지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직업별로 다른 의견을 설명했다. 또 “연령대별로 30대와 40대는 현행유지 강화 의견이 높은 반면에 대기업 임원들이나 아니면 중소기업, 자영업자 등이 많은 50대에서는 국내산 농축산물에만 예외를 적용하자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한편 리얼미터의 9월3주 정기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9월2주 조사(11~15일)보다 1.5%포인트 떨어진 65.6%로 집계됐다. 4주 연속 내림세다. 부정평가는 2.6% 포인트 오른 29.4%다. 리얼미터는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 완전파괴’ 유엔총회 연설과 문 대통령의 세계시민상 수상 관련 보도가 이어졌던 20일 일간집계에서 상승했다”며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800만달러 대북 인도지원이 결정된 21일에는 리용호 외무상의 트럼프 맹비난 소식 등의 악재로 다시 하락했다.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한미 정상회담이 있었던 22일에는 하락세를 멈춘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50.7%(9월2주보다 +1.4%포인트), 자유한국당 16.8%(-1.6%포인트), 바른정당 6.4%(+1.4%포인트), 국민의당 5.5%(-0.3%포인트), 정의당 5.2%(-0.6%포인트) 순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18~22일 성인 253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9%p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조하면 된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