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회 정보위에 보고
“NLL 넘었지만 북 레이더 안 잡힌듯
후속조처로 비행기 이동·동해안 강화”
“NLL 넘었지만 북 레이더 안 잡힌듯
후속조처로 비행기 이동·동해안 강화”
지난 23일 밤 미군의 전략폭격기 B-1B가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북한 동해상으로 출격했을 때 북한의 즉각적인 조처가 없었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26일 간사단 간담회 형식으로 국정원 북한 담당 국장의 보고를 받았다. 국정원은 이 자리에서 “B-1B가 들어갔을 때 북한에서는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이철우 정보위원장은 기자들에게 “북한은 이번에 (B-1B 비행이) 자정 무렵이니 전혀 예상을 못 했고 레이더에서도 강하게 잡히지 않아 조치를 못 한 것 같으며 후발 조치로서 비행기 이동, 동해안 강화 조치를 하고 있다”는 국정원의 보고를 전했다.
국정원은 또 정보위원들에게 “북한이 아마 깜짝 놀랐을 거다. 지금까지 반응이 없는 건 중국·러시아와 상의를 하는 것이다. 북한이 잘 모르는 것 같아서 B-1B 궤적을 공개했다”는 미군 쪽의 분석도 보고했다고 한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보위원들이 휴전선 긴장 상황을 질의하자 국정원은 “북한이 강하게 ‘선 보고하고 후 조치하라’고 지시 내리고 있다. 우발적 도발이나 충돌이 없도록 조심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북한이 우발적 충돌을 피하려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는 추정인 것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선 보고, 후 조치는) 이전부터 내려왔던 지시다. 이런 배경으로 갑자기 바뀌는 건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앞서 미국 공군은 지난 23일 자정 무렵, ‘죽음의 백조’라고 불리는 ‘B-1B 랜서’ 폭격기 여러 대를 괌 기지에서 출격시켜 북한 동해의 국제공역에서 무력시위를 벌였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