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2017 통일의식조사’
70.6%는 “북 무력도발 가능성” 작년보다 높아
“북 핵무기 위협적인가” 질문엔 3년째 하락
정부 대북정책에 59.3%가 “만족”
70.6%는 “북 무력도발 가능성” 작년보다 높아
“북 핵무기 위협적인가” 질문엔 3년째 하락
정부 대북정책에 59.3%가 “만족”
국민들이 느끼는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에 대한 위협 인식이 지난해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남북 간 군사적 긴장 해소가 시급하다는 인식도 천안함 사건이 있었던 2010년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북한의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와 이에 대응한 미국의 무력시위 등 북-미 간 ‘강 대 강’ 대치로 고조된 한반도 긴장이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27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이러한 내용을 뼈대로 한 ‘2017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북한의 대남 ‘무력도발’ 가능성에 대한 위협 인식은 지난해 66.1%에서 올해 70.6%로 4.5%포인트 높아졌다. 이런 위협 인식은 전국적으로 높았으며, 20~50대 모두 60~70%로 나타났다.
이와 맞물려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은 ‘군사적 긴장 해소’를 대북 문제에 있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지목했다. 이런 의견은 지난해 77.7%에서 올해 83.3%로 5.6%포인트 높아졌다. ‘남북 간 전쟁 위협 해소’를 통일의 이유로 꼽은 응답자가 2015년 26.3%→2016년 29.7%→2017년 32.5%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문인철 성균관대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위협 인식 상승의 이유를 “북한 핵·미사일 발사 실험과 ‘강 대 강’ 북-미 대립”에서 찾았다.
반면 북한 핵무기를 위협으로 여기는 인식은 지난해 79.5%에서 올해 70.6%로 뚝 떨어졌다. 2014년 이래 계속 떨어지고 있는 이런 추세에 대해 문 연구원은 “(국민들이) 북핵이 체제 생존을 위한 협상용이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북한이 ‘협력 대상’이라는 인식은 지난해 43.7%에서 올해 41.9%로 소폭 하락했고, 북한을 ‘적대 대상’이라고 꼽은 국민도 지난해 14.8%보다 소폭 오른 16.2%로 나타났다. 북한을 협력 대상(45.2%)으로 보거나 적대시(17.4%)하는 쪽 모두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3년 조사부터 지속적으로 떨어지던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는 4년 만에 급반등했다. 올해는 응답자의 59.3%가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고 답해, 지난해의 45.1%보다 14.2%포인트 뛰었다. 분석을 맡은 천자현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원은 “지난 정부에 대한 회의감과 새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원인으로 꼽았다. 대북정책과 관련해 응답자들은 비핵화(86.3%)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고 평화협정(77.9%)과 정기 회담(68.2%), 남북경협(62.6%) 차례로 답했다. 한국갤럽이 대행한 이 조사는 지난 7월3~28일 전국 성인남녀 1200명(19~74살)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한 결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8%포인트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