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12·28 한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후속조처와 관련해 “이미 앞 정부에서 공식합의를 했던 일이어서 현실적인 방법을 찾은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는 기본적으로 진실과 정의의 원칙에 의해서 해결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하고,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 나갈때 할머니들이 일본을 용서할 수 있다”며 “그것이 완전한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외교부는 전날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을 정부예산으로 충당하고, 일본에 ‘12·28 합의’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12·28 합의’ 후속조처를 내놓은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에 대해 진실과 정의라는 원칙에 입각한 해결을 촉구할 것”이라면서도 “그것은 우리가 기존의 합의를 파기하고 재협상을 요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10억엔 처리 방안’에 대해선 “그 돈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일본과 위안부 할머니들, 시민단체들이 동의한다면 (10억엔 사용도) 바람직할 수 있다고 본다”며 “조금 더 시간을 가지고 일본과 할머니들을 비롯한 관련 단체들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에 앞서 밝힌 신년사에서 “한일 양국 간에 공식적인 합의를 한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일본과의 관계를 잘 풀어가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해나가겠다”면서도 “일본과 마음이 통하는 진정한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 지금까지 천명해 왔던 것처럼 역사 문제와 양국간 미래지향적 협력을 분리하여 노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과와 추가 대응을 요구하되, 위안부 문제를 전반적인 한-일 관계와 연계시키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