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신환 바른정당 원내대표가 5일 국회에서 비교섭단체 대표 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방송 갈무리.
오신환 바른정당 원내대표가 5일 국회연설을 통해 “우리 정치에 제3의 힘을 형성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바른정당은 당원대표자회의(전당대회)를 열고 국민의당과의 합당안을 가결했다.
오 원내대표는 본회의 전 국회 연단에 올라 바른정당 원내대표로서 연설에서 “정치가 민생에서 멀어진 근본 원인은 낡고 오래된 양당구조에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양극단에 치우친 두개의 거대 정당이 서로 자신만이 진리임을 주장하며 상대방에 대한 혐오를 선동하고 있다”고 말한 오 대표는 “그 결과 보수가 정권을 잡으면 종북몰이 시대가 오고, 진보가 정권을 잡으면 적폐몰이 시대가 온다. 하나의 정치 보복이 또 다른 보복정치에 자리를 물려주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수구 보수와 낡은 진보의 극한 대립은 역설적이게도 그들의 적대적 공존을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 원내대표는 “한 해 전 보수라는 이름에 오명이 씌워졌고, .국민의 질타 앞에 스스로 뼈를 깎고, 스스로 껍데기를 벗는 고통스런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바른정당의 창당 과정을 돌아보며, “바른정당의 1년은 한국의 역대 보수정당에 따라다녔던 특권과 이익 공동체라는 낙인을 도려내고 가치 공동체를 이루려는 정치실험이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바른정당은 이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여정에 나설 것”이라며 “국민의당과 정치공학적 통합이 아니라 가치의 통합을 이루고, 미래를 위한 통합과 개혁의 정치를 시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제 저희들 개혁 보수의 길이 제3의 길과 만나 우리 정치에 제3의 힘을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정치사에 없었던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또 한번의 정치실험이 될 것”이라고 말한 오 원내대표는 “낡고 오래된 양당정책으로는 민생 증진을 이룰 수 없다”며 민생 정치를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민생현실을 무시해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이기는커녕 사회적 약자들의 일자리를 없애고 자영업자에게 경제적 사형선고가 되고 있다”고 현 정부의 경제정책을 비판하기도 했다. 개헌 의지와 중부담·중복지 원칙도 확인했다. “제왕적 대통령제를 해소하기 위한 개헌에도 나서겠다”며 다당제 친화적인 선거제도를 만들어 거대 정당의 독식 폐해를 막고 민심의 변화에 민감한 역동적 정치구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개헌을 국회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중부담·중복지의 원칙을 실현해 시장의 자발적 활력과 국가의 경제 기획력을 조화시키겠다”며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다. 급속한 복지 확대 정책을 펴면서도 소수의 부자 증세만 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선거용 자기 기만은 끝나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오 원내대표는 “경제에 있어서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개혁의 길을 추구하고, 안보에 있어서 굳건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평화통일의 가치를 담는 제3정당을 건설하겠다”며 “경제는 민생 중심의 원칙을 굳건히 사수하되 안보는 민족 이데올로기에 휘둘리지 않는 제3의 길을 가겠다”고 다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