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수(왼쪽 두번째) 변호사가 2016년 3월14일 당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노동자 서민의 요구와 선택’ 총선 노동-민생 정책공약 비교평가 대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선수·노정희·이동원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동의안 표결이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개혁입법연대’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특히 자유한국당이 반대하는 진보 성향 김선수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의 연대 여부가 향후 개혁입법연대 가능성을 가늠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 김명수 대법원장의 대법관 후보자 제청을 받은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주 말이나 다음주 초에 이들의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회는 동의안이 제출된 이후 20일 안에 인사청문회를 마친 뒤 본회의에서 동의안 표결을 시도한다. 동의안은 국회 재적의원 과반 출석, 출석의원 과반 찬성을 얻어야 가결된다.
이번 임명동의 투표는 6·13 지방선거와 함께 치른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로 의석 변화가 생긴 이후 여야가 뜨겁게 맞붙는 첫 표 대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보적 노동법 변호사인 김선수 후보자를 둘러싼 여야 표 대결이 관심사다. 김 후보자는 보수적이고 획일적인 대법원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해 참여정부 시절부터 꾸준히 대법관 후보로 거론된 인물이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은 김 후보자가 △참여정부 청와대 사법개혁비서관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 사건 변론 등을 했다며 임명을 반대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반대에 맞서 원내 진보·개혁 세력이 얼마나 뭉치느냐가 관건이다. 김 후보자 임명동의에 긍정적인 민주당은 국회의원 재보선 이후 130석으로 몸집을 불렸다. 여기에 평화당(14석), 정의당(6석),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4인방(박주현·이상돈·장정숙·박선숙), 민중당(1석), 친여권 성향 무소속 3명(강길부·손금주·이용호)이 김 후보자 임명동의에 가세하면 158석까지 모을 수 있다. 김 후보자 임명동의를 위해 이들 세력이 손을 잡으면, 향후 민생·개혁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혁입법연대’가 가동되는 계기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대법관 후보자 임명동의를 통해 민주당-평화당-정의당 연대가 가시화하거나 위력이 확인되면 바른미래당도 끌어들일 구심력이 생길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은 3일 “바른미래당 내부에서도 (개혁입법연대에) 동참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온다. (연대를 위해) 민주당이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에 대해 긍정 평가를 내린 바른미래당도 임명동의 가결에는 일단 동참할 가능성도 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