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열린 태풍 '솔릭' 대처 상황 점검회의에서 전국 시도지사를 비롯해 관계 부처 장관들로부터 상황 보고를 받고 있다.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태풍 솔릭의 한반도 상륙이 임박하자 규제혁신 관련 외부 일정을 연기하고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체제를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모든 공직자들은 이번 태풍이 끝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국가적 비상대비 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밝혔다. 이날 태풍 대비 점검회의에는 행정안전부·해양수산부 등 재난 관련 주요 부처 장관과 17개 시·도지사들이 참석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가장 먼저”라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부득이 피해를 입게 될 이재민 구호와 피해시설 응급 복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행안부와 교육부 등에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지원책 검토 △휴교령 및 등하교 시간 조정 등을 강구할 것을 당부했다. 통일부에는 “태풍이 2차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는 금강산 지역으로 지나갈 예정이다. 필요하다면 상봉 장소와 일정, 조건 등을 신속하게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 기업들도 직원 안전을 위해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등 능동적으로 대처해주기 바란다”고 권고했다.
정부는 태풍 피해 대비에 분주하게 움직이면서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행안는 이날 정오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근무체제를 ‘비상 1단계’에서 ‘비상 2단계’로 격상했다. 위기경보도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높였다. 행안부는 또 17개 시·도에 현장상황관리관 34명을 파견해 태풍 취약지역 사전점검과 현장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소방청은 피해가 예상되는 목포에 수도권 특수구조대를 파견하고, 영남·호남 특수구조대를 각각 창원과 목포에 전진 배치했다. 해양경찰청은 태풍영향권 안에 있는 94개 항로의 여객선 운항을 중단시켰다.
해수부는 여객선, 어선 등 선박 대피 현황과 항만 및 어항시설 안전점검, 항만 통제 등을 집중 점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농업용 배수장 1181곳의 침수를 우려해 24시간 긴급가동 태세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에너지·산업단지 유관기관들과 이날 오전 대책회의를 열어 원전 등 발전소와 송배전망, 석유비축시설, 도시가스관 등 주요 에너지 시설을 점검했다. 태풍으로 인한 정전사고에 대비해 한전에서도 아파트 정전 복구를 위한 비상인력이 대기 중이다. 일반 주택이나 가정에서 전기 고장이나 정전사고가 생기면 전기안전공사 콜센터(1588-7500)로 전화해 전기안전 119 긴급출동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김보협 채윤태 최하얀 기자
bhkim@hani.co.kr
[화보] 19호 태풍 솔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