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재 의원에 삼성채권 유입 파장
검찰이 2000~2002년 삼성그룹이 사들였던 800억원대 무기명 채권 가운데 5억~10억원 상당이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 쪽에 흘러들어간 증거를 확보함에 따라, 정치권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그동안 ‘삼성 채권’ 가운데 쓰임새가 확인되지 않은 500억원의 일부는 노무현 선거캠프로 유입됐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돼 왔으나, 이를 입증할 구체적 단서가 잡힌 것은 처음이다.
노 후보쪽에 20∼30억 전달 가능성
검찰, 채권 인련번호 추적나서
비현금화·삼성 비협조로 수사 난관 삼성 채권 노 캠프 유입 첫 증거=지난해 대선자금 수사에서 삼성 채권 가운데 노 후보 쪽으로 간 것으로 확인된 것은 모두 15억원이었다. 그나마 이 액수는 검찰이 물증을 통해 찾아낸 것이 아니라, 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안희정씨가 수사 막바지에 ‘자백’한 결과였다. 당시 각 후보 쪽에 건너간 것으로 확인된 채권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쪽이 300억원,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 쪽이 15억4천만원이었다. 당연히 여당의 유력 후보였던 노 후보 진영으로 간 돈이 너무 적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검찰은 삼성 쪽 실무자들이 잠적했다는 이유로 수사를 마무리했고, 다만 이학수 삼성그룹 부회장과 김인주 구조조정본부 사장 등을 내사중지 처분해 수사 재개의 실마리는 남겨뒀다. 삼성 채권에 대한 검찰 수사는 올 9월 채권 매집에 관여한 삼성증권 부장 출신 최아무개씨가 귀국해 검거됨으로써 재개됐다. 검찰은 이어 삼성 채권 가운데 현금화된 채권이 있는지를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이광재 의원의 대학 후배인 또다른 최아무개씨가 5억~10억원의 채권을 현금화했으며, 베트남으로 출국한 사실이 확인됐다. 검찰은 이 의원 쪽에 전달된 채권의 일련번호가 안희정씨가 받은 것과 연결돼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안씨가 받았다는 15억원과 이 의원 쪽을 포함해 최소한 20억~30억원대 이상의 채권이 뭉치로 노 후보 쪽에 건네졌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500억원 채권 행방 모두 밝혀질까?=이 의원 쪽과 안희정씨가 받은 채권과 일련번호가 연결된 채권들을 계속 추적하면 노 후보 쪽으로 건네진 채권의 전체 규모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명 채권의 특성상 현금화가 되지 않으면 애초 누가 받았는지 전혀 추적할 수 없다는 점에서 행방 추적이 쉽지만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번 수사 과정에서 지난해 대선자금 수사 뒤 현금화된 채권이 “몇억원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혀, 이광재 의원 쪽이 사용한 것 외에는 아직 현금화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따라서 애초 채권을 받은 누군가가 대선자금 수사가 시작되자 삼성 쪽에 채권을 다시 넘겨주고 현금으로 바꿨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권의 노 후보 쪽 추가 유입이 확인되면서 다시 수사 대상이 된 삼성 쪽은 수사에 전혀 협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쪽은 수사가 재개된 뒤 이와 관련해 이미 숨진 전직 임원에게 책임을 미루는 방식으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검찰, 채권 인련번호 추적나서
비현금화·삼성 비협조로 수사 난관 삼성 채권 노 캠프 유입 첫 증거=지난해 대선자금 수사에서 삼성 채권 가운데 노 후보 쪽으로 간 것으로 확인된 것은 모두 15억원이었다. 그나마 이 액수는 검찰이 물증을 통해 찾아낸 것이 아니라, 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안희정씨가 수사 막바지에 ‘자백’한 결과였다. 당시 각 후보 쪽에 건너간 것으로 확인된 채권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쪽이 300억원,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 쪽이 15억4천만원이었다. 당연히 여당의 유력 후보였던 노 후보 진영으로 간 돈이 너무 적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검찰은 삼성 쪽 실무자들이 잠적했다는 이유로 수사를 마무리했고, 다만 이학수 삼성그룹 부회장과 김인주 구조조정본부 사장 등을 내사중지 처분해 수사 재개의 실마리는 남겨뒀다. 삼성 채권에 대한 검찰 수사는 올 9월 채권 매집에 관여한 삼성증권 부장 출신 최아무개씨가 귀국해 검거됨으로써 재개됐다. 검찰은 이어 삼성 채권 가운데 현금화된 채권이 있는지를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이광재 의원의 대학 후배인 또다른 최아무개씨가 5억~10억원의 채권을 현금화했으며, 베트남으로 출국한 사실이 확인됐다. 검찰은 이 의원 쪽에 전달된 채권의 일련번호가 안희정씨가 받은 것과 연결돼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안씨가 받았다는 15억원과 이 의원 쪽을 포함해 최소한 20억~30억원대 이상의 채권이 뭉치로 노 후보 쪽에 건네졌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500억원 채권 행방 모두 밝혀질까?=이 의원 쪽과 안희정씨가 받은 채권과 일련번호가 연결된 채권들을 계속 추적하면 노 후보 쪽으로 건네진 채권의 전체 규모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명 채권의 특성상 현금화가 되지 않으면 애초 누가 받았는지 전혀 추적할 수 없다는 점에서 행방 추적이 쉽지만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번 수사 과정에서 지난해 대선자금 수사 뒤 현금화된 채권이 “몇억원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혀, 이광재 의원 쪽이 사용한 것 외에는 아직 현금화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따라서 애초 채권을 받은 누군가가 대선자금 수사가 시작되자 삼성 쪽에 채권을 다시 넘겨주고 현금으로 바꿨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권의 노 후보 쪽 추가 유입이 확인되면서 다시 수사 대상이 된 삼성 쪽은 수사에 전혀 협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쪽은 수사가 재개된 뒤 이와 관련해 이미 숨진 전직 임원에게 책임을 미루는 방식으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