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지난 2002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에 건넨 20억원대의 채권이 추가로 드러났다.
대검 중앙수사부(부장 박영수·주임검사 최재경)는 15일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수백억원대 삼성 채권 가운데 24억7천만원어치의 채권이 한나라당에 건너간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이 채권은 대선 직전인 2002년 11월 김인주(47) 삼성구조조정본부 사장과 박아무개(사망) 구조본 상무가 이회창 후보의 법률고문이었던 서정우(62) 변호사에게 건넨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선자금 수사 당시 검찰이 밝혀낸 한나라당의 삼성 채권 수수액은 300억원으로, 이번에 추가로 발견한 채권 액수와 현금으로 받은 것까지 더하면 한나라당이 삼성으로부터 받은 것으로 드러난 돈은 모두 364억7천만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검찰은 서 변호사가 이미 정치자금법 위반죄로 처벌받은 점을 감안해 따로 입건하지는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정치자금법 위반죄 공소시효(3년)가 지나 처벌할 수 없다.
검찰은 이광재(40) 열린우리당 의원이 삼성 쪽으로부터 받은 채권 액수는 6억원이라고 밝혔다. 검찰 조사 결과, 이 의원은 2002년 5월 서울 중구의 한 호텔 커피숍에서 박 상무를 만나 대선자금 명목으로 채권 6억원어치를 받았고, 같은 해 7월 학교 후배인 최아무개(40)씨를 통해 4억5천만원으로 현금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의원은 “삼성 쪽 제의로 박 상무를 만났다”며 “(채권을 받은 뒤) 나는 돈을 만지지 않으니 다음부터는 정무팀장(안희정)을 만나라”고 진술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이 의원이 받은 채권과 검찰이 대선자금 수사 과정에서 채권 추적 결과 찾아내 이학수 삼성 부회장과 안희정씨 등한테서 자백을 받아낸 15억원어치 채권과 안씨가 자백한 현금 15억원 등을 합치면, 지금까지 노무현 캠프가 삼성으로부터 받은 것으로 드러난 대선자금은 36억원으로 늘었다.
검찰 관계자는 “이 의원은 이 돈을 대선자금으로 자신이 직접 썼다고 진술했다”며 “대선을 위해 자기 사무실 비용이나 활동비 등으로 쓴 것으로 보여 횡령죄를 적용하기 어렵고, 정치자금법 위반은 시효가 지났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삼성 쪽으로부터 400여억원의 채권을 제출받아 자체 파악하고 있는 삼성 채권의 일련번호와 대조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은 2년여 전 대선자금 수사 과정에서 “남은 채권 가운데 일부는 회사 용도로 쓰고 일부는 보관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보관 중인 채권의 제출을 거부해 왔다. 그러나 6일 김인주 사장이 출석해 조사를 받을 때 이를 모두 제출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수사팀 관계자는 “채권 번호는 대략 (검찰이 파악하고 있는 것과) 맞는 것 같다”며 “검찰이 파악하고 있는 삼성 채권 액수와 수십억원의 차이가 있는데 삼성 쪽은 직원 격려금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를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16일 삼성 채권 수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수사팀 관계자는 “채권 번호는 대략 (검찰이 파악하고 있는 것과) 맞는 것 같다”며 “검찰이 파악하고 있는 삼성 채권 액수와 수십억원의 차이가 있는데 삼성 쪽은 직원 격려금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를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16일 삼성 채권 수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