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4월29일 오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글로벌모터스에서 열린 준공 기념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29%를 기록해 취임 후 처음으로 30%선이 무너졌다. 특히 부동산 정책과 암호화폐 논란 등으로 20대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 현상)의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평가받는 30%대 밑으로 지지율이 떨어지면서 국정운영 동력 약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 평가를 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긍정평가는 29%, 부정평가는 60%를 기록했다.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31%)보다 2%포인트 하락해 취임 후 최저치였다. 3월 1주차 조사(40%) 뒤 줄곧 하락세를 보였지만 20%대로 주저앉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가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의 하방 압력을 높이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부동산 정책’(28%)을 가장 많이 꼽았고, ‘코로나19 대처 미흡’(17%),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9%) 차례였다. 분야별 정책 평가에서도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평가는 9%로 가장 낮았고, 부정평가는 81%까지 치솟았다.
모든 세대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지른 가운데 60대 이상의 부정평가가 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62%), 50대(61%), 40대(52%), 30대(49%) 차례로 부정응답률이 높았다. 특히 20대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주 전 27%였던 20대의 긍정률은 지난주 25%로 하락한 데 이어 이번주는 21%까지 떨어졌다. 한국갤럽이 같은 기간 조사한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평가에서도 18~29살의 단 4%만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응답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30%선이 붕괴된 큰 원인 가운데 하나는 20대 지지율 하락이다. 가상화폐와 주식 양도세, 부동산, 젠더 문제 등이 20대 민심 이반을 부추기고 있다”고 짚었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28%로 평균 이하를 보였다. 보수층은 10%, 진보층은 61%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지난주보다 2%포인트 하락한 29%로 내려앉았고, 대전·세종·충청은 전주보다 12%포인트 하락해 24%까지 떨어졌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33%, 국민의힘 28%로 나타났다. 2주 전인 4월 3주차 조사부터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 아래로 내려가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단 1%였던 격차는 4%까지 벌어졌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대통령 지지율과 당 지지율이 역전되는 건 역학관계의 변화를 의미하며 정권 말기의 위험한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30%대 지지율이 무너지면서 임기 1년을 남겨둔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력 상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3명 가운데 한명의 지지도 못 받는 대통령이라고 하면 핵심 지지층마저 이탈하는 국정 동력의 마비나 상실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엄경영 소장은 “해결되지 않은 현안이 별로 남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는 지지율이 큰 의미가 없다. 40%선이 깨졌을 때 레임덕에 접어든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6%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