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아시아 행복지수 1위, ‘이 나라’의 비결은

등록 2022-06-30 10:01수정 2022-06-30 14:05

국회미래연구원, 분석 보고서 발표
코로나 사태에도 경제 고성장 지속
‘열린 정책’으로 신뢰와 자유 확대
2013년 이후 내리막길 한국과 대조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 거리. 대만은 최근 몇년 동안 행복지수에서 아시아 지역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픽사베이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 거리. 대만은 최근 몇년 동안 행복지수에서 아시아 지역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픽사베이

지난 3월 발표된 유엔 세계행복보고서에서 대만은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혔다.

올해 대만의 행복지수는 6.512점으로 전체 146개국 중 26위였다. 중국(72위)은 물론 일본(54위), 한국(59위)도 멀찌감치 따돌렸다. 올해가 처음이 아니다. 2018년 이후 4년째 이런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유엔 행복보고서는 행복도를 설명하는 지표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 구매력평가 기준), 사회적 지지(문제가 생겼을 때 도움을 줄 사람 여부), 기대수명, 삶에서의 선택 자유, 관용(지난 한 달 동안 기부 여부), 부패 인식(부패가 만연하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6가지를 이용한다. 대만은 이 가운데 사회적 지지와 관용, 선택의 자유 3가지 항목에서 한국보다 높은 순위에 올라 있다. 행복조사와 함께 실시하는 갤럽의 긍정·부정 감정 조사에서도 하루 전에 웃거나 즐거운 일, 흥미로운 일이 어느 정도 있었는지를 평가하는 긍정 정서에서 대만은 41위로 한국(117위)을 크게 앞서 있다.

대만이 애초부터 아시아 1위였던 건 아니다. 2013년 행복보고서에선 한국과 대만이 둘 다 행복지수 6.2점대로 세계 40위권이었다. 그러나 이후 두 나라의 방향이 엇갈렸다. 한국은 행복지수가 크게 떨어져 순위가 내려간 반면 대만은 지수와 순위가 계속 상승세를 탔다.

대만 행복지수 상승을 이끈 3가지

중국의 군사적 위협과 경제적 압박이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서도 대만인들의 행복지수가 상승한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국회미래연구원 삶의질데이터센터가 대만의 행복수준 상승의 원인을 분석한 ‘국민행복 포커스’ 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환의 계기가 된 건 2016년 국민당에서 민주진보당으로의 정권교체였다. 보고서는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청년들이 대만섬을 귀신들린 저주의 섬(귀도)이라고 자조할 정도로 대만인들 사이에선 사회 불만이 팽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차이잉원 총통 집권 이후 최저임금법 등 친서민 정책과 반도체와 같은 핵심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통해 경제와 사회의 활력이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다.

허종호 센터장은 “6가지 행복 지표의 변화를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대만인들의 행복지수 상승을 이끈 것은 물질적 생활 수준과 사회적 지지, 선택의 자유 3가지로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높은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대만은 지난 2년 동안 사상 최장, 최고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한국이 2020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등 경제가 출렁이는 사이 대만은 2020년 3.1%, 2021년 6.28%로 계속해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세계 1위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TSMC가 이끈 반도체 수출 호조가 큰 역할을 했다. 이에 힘입어 대만은 1인당 지디피(GDP)에서도 조만간 한국을 추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차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만의 1인당 지디피는 3만3775달러로 한국(3만4801달러)에 거의 근접해 있다.

코로나 확산 초기에 성공적인 강력한 코로나 방역 정책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한껏 높아진 것도 한몫했다.

특히 마스크 공급 대란이 일어나자 재빨리 디지털 마스크 배급 시스템을 만들고 이 시스템에 시민 개발자가 만든 ‘마스크맵’을 결합시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이는 또 한국의 ‘마스크 5부제’ 원형 모델이 되기도 했다. ‘위드 코로나’로 방역 정책을 전환한 이후 최근 코로나 확진자 수가 크게 늘고 있지만, 존스홉킨스의대 코로나자원센터 집계에 따르면 현재 인구 10만명당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27명으로 한국(48명)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2003년 사스 경험에 기반한 신속한 방역 대응, 견고한 바이러스 검사, 엄격한 입국자 검역,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배분, 바이러스에 대한 투명한 정보 전달, 높은 보건 의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열린 정부’를 내세운 차이잉원 정부의 투명한 정책과 소통에 대한 신뢰가 상승하면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마스크 착용, 외출 자제 등으로 호응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초기 마스크 대란 속에서 사회연결망을 통해 시민들의 ‘난 OK, 너 먼저’ 운동이 일어나 위기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대만 누리꾼들의 ‘난 OK, 너 먼저’ 마스크 운동. 출처=대만 마스크 운동 페이지/국회미래연구원 제공
대만 누리꾼들의 ‘난 OK, 너 먼저’ 마스크 운동. 출처=대만 마스크 운동 페이지/국회미래연구원 제공

‘헬조선’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셋째로는 개혁적 조처를 통한 사회통합과 자유의 확대다.

대만 정부는 높은 경제 성과를 토대로 사회안전망 강화에 힘써 최저임금, 육아수당 인상에 나서는 한편 젠더와 소수자 등 정체성 정치에서도 개방적인 태도로 시민들의 사회적 자유를 확대했다. 예컨대 대만은 2019년 아시아에선 처음으로 동성 결혼을 합법화했다.

보고서는 대만이 밖으로 중국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내부의 민주주의와 자유 실현을 강조한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2021년 미국의 프리덤하우스가 발표한 세계자유지수에 따르면 대만의 자유 지수는 세계 7위에 올라 있다. 국경없는기자회(RSF)가 발표한 2021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선 한국(42위)에 이어 43위를 차지했다. 올해 2월에는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매긴 ‘2021년 민주주의 지수’에서 세계에서 8번째로 강력한 민주주의 국가로 선정됐다.

보고서는 한때 ‘귀도’로 자조하던 대만의 행복도가 상승한 것은 ‘헬조선’으로 자조하는 한국 사회에 시사점을 던져준다고 강조했다.

허종호 센터장은 “코로나19의 통제에서 벗어나 일상 생활로 복귀하고 있는 지금, 한국의 행복도 향상을 위해서는 세계적 경기 침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통합과 자유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하루 2만번 눈 깜빡임…더 잘 소통하고 잘 보게 된다 1.

하루 2만번 눈 깜빡임…더 잘 소통하고 잘 보게 된다

햇빛을 바람 삼아…우주돛배 발사 2.

햇빛을 바람 삼아…우주돛배 발사

인간은 인수공통감염병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다 3.

인간은 인수공통감염병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다

‘붉은 태양의 모든 것’…눈으로 볼 수 있다면 4.

‘붉은 태양의 모든 것’…눈으로 볼 수 있다면

‘면도날 삼키는 인후통’ 부르는 오미크론…어찌해야 덜 아플까 5.

‘면도날 삼키는 인후통’ 부르는 오미크론…어찌해야 덜 아플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