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당신의 임신 중지, 빅테크 ‘디지털 흔적’으로 남아 있다

등록 2022-07-11 09:00수정 2022-07-11 11:55

임신중지 기소때 디지털증거 활용관행
위치 정보, 문자메시지, 검색 기록 등
“공권력의 디지털정보 요청을
빅테크가 판단·결정할 수 있는가”
빅테크의 민주적 정당성 문제 부각
지난 6월 25일 시민들이 미국 연방대법원 청사 앞에서 전날 ‘로 대 웨이드’ 판례 폐기에 항의하고 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지난 6월 25일 시민들이 미국 연방대법원 청사 앞에서 전날 ‘로 대 웨이드’ 판례 폐기에 항의하고 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미국 연방대법원이 여성의 임신중지권을 보장해온 ‘로 대 웨이드’ 판례를 파기한 이후 21세기 빅브라더로 부상한 빅테크의 정보 독점과 감시 통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개인의 사생활을 포함해 민감한 내용이 담겨있는 디지털 정보들이 임신중지 행위를 수사하고 처벌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공권력이 관련 정보를 요구할 경우 빅테크들이 정보를 제공해 불법 임신중지 행위 기소를 도울지도 주목된다.

■ 디지털 증거

디지털 증거는 미국에서 범죄 수사의 방식을 새롭게 바꾸고 있으며 임신중지 관련 수사 및 처벌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60명 이상이 법규를 위반한 낙태를 하거나 도운 혐의로 조사를 받거나 체포·기소되었는데, 임신중지 관련 검색 기록과 문자메시지 등이 증거로 활용되었다. 2018년 미시시피 자택에서 사산한 후 2급 살인죄로 기소된 래티스 피셔는 낙태를 위한 약의 구매 관련 인터넷 검색 결과가 결정적 단서가 되었다. 2015년 인디애나주에서는 프루비 파텔이라는 여성이 임신 30주 때 임신 중절을 한 후 기소되어 처음에는 유죄를 선고받았다. 관련 약 복용에 대해 친구와 문자메시지로 상의한 것이 결정적 증거로 제시되었다.

포드재단 시민권 변호사 신시아 콘티 쿡은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문자메시지, 사이트 방문, 구글 검색은 검찰이 원하는 증거 형태”라며 디지털 흔적을 남길 경우 법적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논란이 되는 것은 구글의 위치 정보 서비스다. 구글은 지도와 위치정보서비스(GPS)를 이용해 지도 타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 흔적은 수사에서 처벌 근거로 활용됐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구글은 2021년 상반기 경찰로부터 5만9천여 건의 정보 제공을 요청받았는데 이는 2016년 상반기의 네 배에 해당한다. 실제 정보를 제공한 비율도 82%에 이른다.

위치정보외에도 구글은 검색정보 수집을 통해, 페이스북은 ‘좋아요’ 기록으로, 아마존은 구매내역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선호와 특성 등 신상 정보를 수집해왔다. 애플도 아이폰 위치 추적 기능과 앱 설치 기록을 통해 개인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미국 정치권도 임신중지를 원하는 이용자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관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 민주당 정치인들은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서한을 보내 구글이나 애플의 개인 데이터의 무단 수집과 판매, 온라인 광고가 낙태 시도자들을 기소하는 데 남용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연방거래위원회가 나서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임신중지가 불법인 주에서 공권력이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은 게 ‘지오펜스 영장’(geofence warrants)이다. 낙태 수술을 하려는 사람에 대한 정보나 특정 의료기관 인근에 있는 모든 사람에 대한 위치정보를 구하려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범죄 발생 지역과 시간대를 특정한 뒤 그곳에 있던 모든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제출하도록 하는 영장이다. 최근 미국에선 이 영장 사용이 부쩍 늘었다고 언론이 보도했다.

■ 빅테크와 민주적 정당성

빅테크기업이 소유한 데이터가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데이터 수집 절차를 재검토하는 등 이용자 보호 조처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기업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이에 구글은 인공 임신중절 수술 의료기관을 포함해 상담센터, 가정폭력 보호소 등 이용자들이 민감해할 수 있는 기관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정보인권 단체 전자프런티어재단(EFF)등 시민단체들은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더 강력한 조처를 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용자가 익명으로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고, 행동 추적을 중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서비스 이용 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엔 이용자의 거부권 등 선택권한을 부여해야 하며, 민감정보는 자주 삭제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구글 등의 선제적 조처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건은 빅테크의 거대한 권한에 대해 근본적 질문을 제기한다. 김현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권력이 요청할 때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거부할지를 빅테크가 판단하고 있다는 점, 즉 빅테크가 룰세팅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짚어야 한다. 이를테면 임신중지 사안은 거센 비판 여론 때문에 위치정보 기록을 삭제하기로 했지만, 마약 수사나 다른 수사는 어떤 결정을 할 것인가? 빅테크가 이러한 판단을 할 수 있는 민주적 정당성을 가지고 있는가?”라고 되물었다. 정보 독점과 감시, 통제 권력으로 21세기 디지털 빅브라더로 불리는 빅테크의 민주적 정당성과 책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한귀영 사람과디지털연구소 연구위원 hgy421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중년 나잇살’ 왜 붙나 했더니…비만 돌파구 찾았다 1.

‘중년 나잇살’ 왜 붙나 했더니…비만 돌파구 찾았다

뒤집혀 착륙해도 괜찮아…길고 추운 ‘달의 밤’ 두 번 버텼으니깐 2.

뒤집혀 착륙해도 괜찮아…길고 추운 ‘달의 밤’ 두 번 버텼으니깐

도깨비 뿔이 달린 ‘악마혜성’이 오고 있다 3.

도깨비 뿔이 달린 ‘악마혜성’이 오고 있다

다른 기억은 사라져도 ‘장소’에 대한 기억은 오래 남는다 4.

다른 기억은 사라져도 ‘장소’에 대한 기억은 오래 남는다

유전자 편집의 윤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5.

유전자 편집의 윤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