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3월2일 콩코드 001기의 첫 시험비행 장면. 위키미디어 코먼스
“더 멀리, 더 빨리!”
스포츠 경기대회 구호가 아니다. 동-서냉전이 절정을 향해 치닫던 1960년대 두 진영의 이동기술 경쟁을 한마디로 압축한 문구다. 냉전시대의 미-소 대립과 경쟁은 군사뿐 아니라 여러 부문의 기술 발전을 가속화했다. 체제 우위를 과시하기 위해 두 진영은 인력과 기술, 자금을 총동원하다시피했다. 덕분에 달 착륙은 예상보다 훨씬 빨리 이뤄졌다. 이 못잖게 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것이 초음속 여객기였다.
공교롭게도 달 착륙과 초음속 비행 모두 올해로 50주년을 맞았다.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Concorde)가 프랑스 툴루즈에서 첫 시험비행을 한 날이 1969년 3월2일이었다. 콩코드는 일반 여객기보다 두배 높은 하늘에서 음속(시속 1224km)의 두배 속도로 날았다. 런던에서 뉴욕까지 3시간 반이면 됐다. 그런데 콩코드는 미국이 아닌 영국과 프랑스 합작품이다. 미-소 사이에 낀 유럽 전통 강국의 위상을 되찾으려는 고심의 산물이었다. 두 나라가 오랜 앙숙 관계이면서도 손을 맞잡은 이유다. 초음속 여객기 이름을 `화합'이라는 뜻의 콩코드로 정한 데서도 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콩코드가 유일한 초음속 여객기는 아니었다. 소련도 가만있지 않았다. 오히려 처음엔 소련이 앞서나갔다. 소련의 초음속기 ‘투폴레프’는 콩코드보다 두 달 먼저 시험비행을 했다. 초음속 돌파도 같은해 6월로 콩코드보다 넉달 앞섰다. 콩코드 개발팀은 새 부리같은 동체 앞부분이 너무나 흡사한 걸 보고 소련이 기술을 훔쳐간 건 아닌지 의심했다. 콩코드는 대신 1976년 1월 먼저 대서양 항로 정기운항을 시작함으로써 최후의 승자가 됐다. 투폴레프도 1977년 말부터 여객 수송을 시작했다. 하지만 몇달 후 새 기종이 시험비행에서 추락한 뒤론 화물 전용기로 전환했다.
콩코드 역시 벽을 넘지 못하고 2003년 역사의 무대로 퇴장했다. 무엇보다 안전 불안감이 컸다. 2000년 7월 발생한 단 한 번의 사고가 치명적이었다. 파리를 출발한 뉴욕행 콩코드가 이륙 직후 폭발해 추락하면서 승객과 승무원 109명 전원이 사망하는 참극이 일어났다. 1년 후 운항을 재개했지만 사람들은 이제 콩코드를 타려 하지 않았다.
둘째는 음속을 돌파할 때 나는 엄청난 소닉 붐(음속폭음)이 문제였다. 셋째는 값비싼 요금이었다. 1997년 뉴욕-런던 왕복 요금은 당시 가장 싼 여객기의 30배나 됐다. 콩코드는 부자들 전용기나 마찬가지였다.
미국이 초음속 여객기 개발을 시도하지 않은 건 아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달 착륙 도전에 이어 1963년 콩코드보다 뛰어난 초음속 여객기 개발을 지시했다. 연방항공국(FAA)은 보잉을 앞세워 초음속 여객기 `보잉 2707' 개발에 나섰다. 그러나 환경, 자금 등에 대한 국내 반발에 부딪히면서 스스로 포기했다.
한동안 꺼져 있던 초음속 여객기 불씨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다시 추진되는 초음속 여객기의 가장 큰 화두는 저소음 실현이다. 이번엔 정부가 아닌 기업들이 앞장섰다. 붐 수퍼소닉과 에어리온, 스파이크 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선두 주자들이다. 우주개발산업에서 스페이스엑스, 블루오리진 같은 신생기업들이 `뉴-스페이스' 시대를 개척해가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2020년대 중반 취항을 목표로 세 곳 모두 이미 선주문까지 받았다. 붐은 55인승 소형 여객기 시장을, 나머지 2곳은 10인승 안팎의 비즈니스 전용기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영국 버진그룹 등이 합작해 설립한 붐은 올해 안에 초음속기 오버처(마하 2.2)의 시제기 ‘XB-1’ 첫 시험비행을 계획하고 있다. 성공할 경우 초음속 여객기 부활의 첫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에어리온은 2020년 6월까지 예비설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2023년 첫 비행을 목표로 한다. 스파이크는 2년 후 시험비행, 2020년대 중반 취항한다는 청사진이다.
전통의 항공기 제조업체들도 뛰어들 태세다. 보잉은 마하5(시속 6400km)의 극초음속 여객기 구상을 공개했다. 2029년 첫 비행이 목표다. 록히드마틴은 미 항공우주국과 함께 초음속 시험기(X-59 QueSST)를 개발한다. 음속 1.2배 속도로 나는 데도 지상에선 자동차 문 닫는 정도에 불과한 소리만 들리도록 한다는 게 목표다. 실현되면 “콩코드보다 1000배나 조용한” 초음속기가 탄생한다. 2021년 시험비행을 계획하고 있다.
새 초음속 여객기의 특징은 외형보다 내실을 추구하는 것이다. 누가 더 빨리 나느냐가 아니라, 누가 더 실용적이냐가 중점이다. 기술 개발의 중심이 고성능에서 고효율로 옮겨갔다. 하지만 명심할 게 있다. 이들 기업들이 등장할 수 있는 바탕엔 오랜 기간 국가 비전과 역량을 모아 쌓은 기반 기술력과 개발자들이 있었다는 점이다. 오늘날 선진국의 많은 스타트업이 우주여행이나 초음속기 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건 이 덕분이다. 먼 나라에서 전개되는 뉴-스페이스시대와 초음속기 부활 움직임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