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드론 사진 대상에 ‘안개 걷히는 수도원’

등록 2019-04-01 06:00수정 2019-04-01 10:04

스카이픽셀-DJI , 공모전 수상작 선정
“뭔가를 접으려 할 때 좀더 붙잡아라”
2018 드론 사진 대상작 몽셀미셸. Credit: Deryk Baumgartner / Skypixel
2018 드론 사진 대상작 몽셀미셸. Credit: Deryk Baumgartner / Skypixel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 DJI가 후원하는 항공 사진가 커뮤니티 스카이픽셀(SkyPixel)이 DJI와 함께 시상하는 드론사진 공모전 `2018 항공 스토리텔링 콘테스트'(2018 Aerial Storytelling Contest) 수상작이 발표됐다. 드론은 예전엔 불가능했던 위치와 각도에서 순간을 포착하게 해준다. 올해는 처음으로 사진과 동영상 작품을 함께 선정했다.

올해의 드론 사진 대상은 막 걷혀가는 아침 안개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 수도원이다. 프랑스 북부해안에 있는 유명관광지 몽생미셸(Mont Saint Michel, 성 미셸의 산이란 뜻)섬의 수도원이다. 썰물 때는 육지와 이어지기도 하는 이 섬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건축부문 1위. 홍콩의 360도 항공 사진이다. Credit: Panvelvet / Skypixel
건축부문 1위. 홍콩의 360도 항공 사진이다. Credit: Panvelvet / Skypixel
사진작가 데릭 바움가트너(Deryk Baumgartner)는 인터넷 언론 `뉴 아틀라스'와의 인터뷰에서 "아침마다 강한 바람과 비를 맞으면서 바위에 앉아 기다렸다"며 "그날 일어서서 집에 가려고 할 때 해가 떠올랐다"고 촬영 순간을 전했다. 그는 "이 사진이 말하려는 이야기는 간단하다. 삶에서 뭔가를 막 접으려 할 때 좀더 길게 붙잡고 있으라는 것이다. 그러면 많은 경우 구름의 가장자리가 뭔알아서 걷힌다."고 말했다.

재미 부문 1위. 메콩강에서 여인들이 꽃을 시장에 내다팔기에 앞서 강물에 씻고 있는 모습이다. Credit: Khanh Phan / Skypixel
재미 부문 1위. 메콩강에서 여인들이 꽃을 시장에 내다팔기에 앞서 강물에 씻고 있는 모습이다. Credit: Khanh Phan / Skypixel
동영상 대상은 호주의 프리랜서 영화제작자 에인 라디크(Ain Raadik)의 `모험:순간과 기억의 모음'에 돌아갔다. 3분 길이의 이 영상은 라디크가 호주와 뉴질랜드, 일본을 여행한 내용을 담았다. 라디크는 수상 소감을 통해 "나에게 드론은 새롭고 독특한 시야로 내 작품 속의 관념들을 널리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놀라운 제작 도구"라고 말했다. 그는 "내 라이프 스토리는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면서 이뤄진다"며 "영화제작에 대한 열정, 물리적 한계에 대한 시험, 새로운 장소에 대한 탐험 모두가 내 작업의 아주 중요한 동력이다. 모든 사람이 자신만의 열정을 찾아내 그것에 충실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대상 외에도 자연, 재미, 스포츠, 건축 부문별로 1~3위 입상작, 그리고 전 부문에서 뽑은 5개의 입선작, 그리고 네티즌들이 뽑은 인기상 10개 작품이 선정됐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