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우주에서 본 해질녘 노을빛 칸첸중가

등록 2020-04-06 07:59수정 2020-04-06 10:42

해발 8586미터…세계 3번째로 높은 산
고도 400km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촬영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칸첸중가. 나사 제공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칸첸중가. 나사 제공

히말라야산맥의 칸첸중가는 해발 8586미터로, 세계에서 세번째로 높은 산이다. 원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여겨졌으나 19세기 중반 측량 결과 1위 자리를 에베레스트(해발 8848미터)에 내줬다.

그러나 우주에서 보면 칸첸중가도 납작하게만 보인다. 봉우리들이 구름 위로 솟아 있는 모습을 통해 입체감을 간접적으로 느낄 뿐이다. 인도와 네팔 경계에 있는 이 산을 고도 400km 상공에서 지구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사진이 최근 공개됐다. 지난해 12월 촬영한 이 사진은 우주에서 본 해질녘의 칸첸중가 모습이다.

인도 다르질링의 타이거힐에서 바라본 아침 동튼 직후의 칸첸중가. 위키미디어 코먼스
인도 다르질링의 타이거힐에서 바라본 아침 동튼 직후의 칸첸중가. 위키미디어 코먼스

전 세계에서 해발 8000미터가 넘는 산 봉우리는 모두 14개다. 칸첸중가는 이 가운데 가장 동쪽에 있는 산으로, 에베레스트에서 남동쪽으로 120km 떨어져 있다.

세계 최고봉의 산에 오르는 건 등반이라기보다는 인간 한계에 대한 도전이다. 미국항공주우국(나사)에 따르면 해발 5천미터에서는 지상보다 산소량이 절반에 불과하다. 해발 6천미터에 이르면 질식이 시작되고, 7천미터부터는 사고력이 뚝 떨어지며, 8천미터 이상에서는 아무리 출중한 등반가라도 며칠을 버티기 어렵다. 그래서 8천미터 이상은 데스존(죽음의 구역)이라 불린다.

1955년 영국 등반가 조 브라운과 조지 밴드가 처음으로 칸첸중가 정상에 올랐다. 한국에서는 엄홍길(2000년), 박영석(1999년), 한왕용(2002년), 김웅식(2001년), 김재수(2009년), 김창호(2010년)씨 등이 칸첸중가 정상에 섰다. 정상 등반에 도전한 세계 산악인 중 20%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히말라야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해 생긴 산맥으로 약 800만년 전 지금과 같이 높고 험준한 지형을 형성했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