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먹잇감을 사이에 둔 하늘과 바다 포식자의 조우?’

등록 2021-02-13 06:24수정 2021-02-14 09:55

‘올해의 수중 사진가’ 수상작 발표
대상에 남태평양 ‘상어의 하늘창'

대상 수상작 `상어의 하늘창'. Renee Capozzol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대상 수상작 `상어의 하늘창'. Renee Capozzol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먹이감을 사이에 둔 하늘과 바다 포식자의 신경전일까?

해질녘 붉은 노을빛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는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바다 속에서 먹이감을 찾고 있는 상어(blacktip reef sharks)와 그 위에서 날개를 쫙 펼치고 선회하고 있는 갈매기를 포착한 사진이 `올해의 수중사진가'(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대상을 차지했다.

1965년에 시작된 영국 기반의 유서깊은 이 사진 공모전에는 올해 68개국 사진가들이 참여해 4500여점의 작품을 제출했다.

‘상어의 하늘창’이란 제목이 붙은 이 사진은 미국의 사진작가 르네 카포졸라가 지난해 8월 무레아섬 앞 바다에서 찍은 것이다.

이 대회 첫 여성 우승자인 그는 수상소감문을 통해 "일몰 때마다 수심이 얕은 곳에 가서 여러날 공을 들인 끝에 마침내 투명하고 잔잔한 물, 완연한 일몰, 상어, 그리고 새들이 모두 담긴 이 장면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 사진 공모전에는 바다뿐 아니라 호수, 강, 심지어 수영장 속에서 찍은 사진도 출품할 수 있으며, 심사는 행동, 난파선 등 13개 주제별 부문과 영국 해역 사진 4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한다.

다음은 부문별 수상작 가운데 일부다.

나의 뒤뜰 부문 수상작 `당신이 잠든 동안'. Mark Kirkland/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나의 뒤뜰 부문 수상작 `당신이 잠든 동안'. Mark Kirkland/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해양보존 부문 수상작 `하늘에서 본 구나얄라의 밀집섬'. 구나얄라군도는 파나마의 섬이다. Karim Iliy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해양보존 부문 수상작 `하늘에서 본 구나얄라의 밀집섬'. 구나얄라군도는 파나마의 섬이다. Karim Iliy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매크로 부문 2등작 `어린 쏠배감팽' Steven Kovacs/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매크로 부문 2등작 `어린 쏠배감팽' Steven Kovacs/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행동 부문 수상작 `사냥을 나서는 멕시코의 줄무늬 청새치들' Karim Iliy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행동 부문 수상작 `사냥을 나서는 멕시코의 줄무늬 청새치들' Karim Iliya/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초상 부문 수상작 `수호신'. 혹돔이다. 혹돔은 자라서 성이 암컷에서 수컷으로 바뀌면서 머리에 커다란 혹이 생긴다. 이토 료헤이/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초상 부문 수상작 `수호신'. 혹돔이다. 혹돔은 자라서 성이 암컷에서 수컷으로 바뀌면서 머리에 커다란 혹이 생긴다. 이토 료헤이/Underwat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1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