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20억년 전, 달에선 마그마가 치솟고 있었다

등록 2021-10-09 09:03수정 2021-10-10 10:35

창어5호가 가져온 표본 분석 결과
아폴로 표본보다 10억년 더 젊어
창어 5호의 착륙지 표면.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창어 5호의 착륙지 표면.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2020년 12월 중국의 탐사선 창어 5호가 가져온 달 암석의 나이는 19억7천만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1960~1970년대 미국 아폴로 우주선 비행사들과 소련 무인 탐사선 루나가 가져온 것보다 10억년 더 젊은 것으로, 이때까지 달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뜻한다. 

창어 5호가 가져온 암석은 총 무게 1.73kg의 현무암으로, 달 북반구 2500km에 걸쳐 있는 ‘폭풍우의 바다’라는 평지에서 채취한 것이다.

중국 과학자들과 함께 암석을 분석한 미 세인트루이스의 워싱턴대 브래드 졸리프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아폴로가 수집한 화산암은 모두 30억년 이전의 것이었고, 표본 분석을 통해 알아낸 충돌분화구의 형성 연대는 10억년 미만이었다”며 “창어 5호가 가져온 것은 이 20억년의 간극을 메워주는 완벽한 표본”이라고 말했다. 졸리프 박사는 “방사성 연대 측정 결과 암석의 나이는 약 20억년을 기준으로 앞뒤 5000만년으로 나왔으며, 이는 매우 정확한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중국과 미국, 호주 등 국제공동연구진은 7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달의 화산 활동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올라와 분출하면서 현무암 바다를 남겼으며, ‘폭풍우의 바다’에서는 거의 2000㎦의 마그마가 분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창어 5호가 착륙한 ‘폭풍우의 바다’ 위치. 워싱턴대 제공
창어 5호가 착륙한 ‘폭풍우의 바다’ 위치. 워싱턴대 제공

_______
20억년 간극 메꿔주는 완벽한 표본

과학저널 <네이처>는 이번 발견은 달을 포함한 태양계 역사와 관련해 중요한 기준점을 제공해준다고 평가했다.

‘폭풍우의 바다’의 정확한 나이를 알아내, 이를 이 지역의 충돌분화구 수와 짝을 지워 놓으면 비슷한 수의 충돌분화구를 갖고 있는 화성 등 다른 행성의 지역 형성 연대도 추론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에 충돌분화구가 많을수록 형성 연대가 더 오래된 지역이다.

‘충돌분화구 계산’(crater counting)이라는 이름의 이런 방법은 지금까지 아폴로 프로그램에서 수집한 달 표본 연대 측정 자료에만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그런데 여기에 빠져 있던 10억~30억년 사이의 데이터를 이번에 얻게 된 것이다.

이안 크로포드 런던대 교수(행성과학)는 <네이처>에 “더 많은 기준점을 확보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이번 논문이 그런 일을 해냈다”고 말했다.

분광기로 촬영한 달 현무암 표면 사진.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분광기로 촬영한 달 현무암 표면 사진.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_______
화산 활동 원인을 둘러싼 2가지 가설

그러나 ‘폭풍우의 바다’가 형성되던 시기에 화산 활동이 일어난 원인은 불분명하다. 이때는 달이 형성된 지 25억년이 지난 시점으로 달이 식기 시작한 때라서 마그마 양이 크게 줄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가능성은 달 내부에 남아 있는 방사성 우라늄, 토륨, 칼륨이 후기 화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맨체스터대 캐서린 조이 교수(행성과학)는 <네이처>에 “그러나 창어 5호가 가져온 표본에는 방사성 원소가 많지 않다”며 “이 점이 바로 수수께끼”라고 말했다.

또 다른 추정은 지구 중력이 끌어당기는 힘이 달의 마그마 분출 에너지를 제공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20억년 전 달은 지금보다 지구와 훨씬 더 가까웠다. 당시 지구와 달의 거리는 지금의 절반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구 중력 효과가 엄청나게 증폭돼 달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가설만으로는 지구 중력 효과가 왜 달 전체가 아니라 ‘폭풍우의 바다’ 같은 곳에 국부적으로 작용했는지까지는 설명을 하지 못한다.

이번 연구는 창어 5호가 가져온 달 암석 표본에 대한 첫 분석 결과다. 중국국가항천국은 8일 “지난 7월13개 과학연구기관에 31개 1차 연구용 표본을 배분했다”고 밝혔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1.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2.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3.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4.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숙취 두통 일으키는 핵심 원인 찾았다 5.

숙취 두통 일으키는 핵심 원인 찾았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