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코로나19에 강한 당신, 어려서 ‘코로나감기’ 앓았을 가능성 높다

등록 2022-08-15 09:51수정 2022-08-18 02:24

어릴 때 코로나감기로 생긴 면역체계 장기간 지속
티세포 강할수록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강한 반응
어릴 적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렸다면 성인이 된 후엔 8년마다 코로나 감기에 감염되는 경향이 있다. 라호야면역학연구소 제공
어릴 적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렸다면 성인이 된 후엔 8년마다 코로나 감기에 감염되는 경향이 있다. 라호야면역학연구소 제공

코로나19 팬데믹의 주범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애초 감기 바이러스로 등장했다.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와 함께 3대 감기 바이러스로 꼽힌다. 통상 전체 감기의 10~30%가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기일 것으로 추정한다.

지금까지 확인된 인체 감염 코로나바이러스는 모두 7종이다. 이 가운데 4종(229E, NL63, OC43, HKU1)은 비교적 가벼운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다. 나머지 3종은 증증 폐렴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사스와 메르스, 그리고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19 유발 바이러스다.

미국 캘리포니아 라호야면역학연구소(LJI) 연구진이 과거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없는 사람들의 혈액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이 강한 사람일수록 코로나19 예방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셀 호스트 & 마이크로브’(Cell Host & Microbe)에 발표했다.

과거 감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긴 면역 체계의 효과를 온전하게 살펴보려면 코로나19 감염력이 없는 사람들의 혈액이 필요하다. 연구진은 운 좋게도 같은 연구소에서 코로나19 이전에 채취해 놓은 젊은 성인들의 혈액 표본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어릴 때 코로나 감기 바이러스에 여러 번 노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에 사용한 혈액은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6~2019년에 6개월~4년에 걸쳐 각기 3~7차례 채취한 32명의 표본이었다. 연구진은 이들의 혈액에 있는 면역세포(CD4+ 티세포)가 4종의 코로나바이러스와 변이 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참가자의 72~81%가 4종의 코로나바이러스에 각각 보통 수준의 면역 티세포 반응을 보였다. 면역 반응의 정도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의 2배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 위키미디어 코먼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 위키미디어 코먼스

어릴 적 코로나 감기에 걸렸던 사람들은 성인이 돼서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안정적인 면역반응을 보였다. 라호야면역학연구소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변이체에도 비슷한 면역 반응 예상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약 3만개의 염기로 구성된 RNA 바이러스로 그 구조가 4종의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와 비슷하다. 따라서 감기 코로나바이러스로 생긴 적응면역 체계가 코로나19에도 어느 정도 통할 것이라는 추정은 코로나19 초기부터 있었다.

예컨대 지난 1월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연구진은 감기 코로나바이러스로 생긴 티세포 수치가 많은 사람은 코로나19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됐던 52명을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26명의 티세포 수치가 훨씬 많았다. 이 티세포는 백신처럼 바이러스 표면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에 반응하지 않고 바이러스 내부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았다. 연구를 주도한 아지트 라발니 교수는 “백신의 표적인 돌기 단백질은 변이가 쉽게 일어나지만 티세포의 표적인 내부 단백질은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면역력이 훨씬 더 오래 지속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라호야연구소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혈액을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의 펩타이드(아미노산의 구성 단위) 및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시켰다. 그 결과 티세포와 항체 반응이 4종의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걸 발견했다. 또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티세포 면역 반응이 강한 사람들이 코로나19에도 강한 면역 반응을 보였다. 어릴 적에 생긴 면역이 성인이 돼서도 유지되는 것이다.

연구진은 변이가 티세포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적기 때문에 오미크론 같은 새로운 변이체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사전출판 논문집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오미크론은 티세포가 표적으로 삼는 영역에서는 변이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풍토병으로 가는 길목에서

연구진에 따르면 어린 시절의 질병은 강한 면역 기억을 유발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성인은 코로나바이러스 감기에 잘 걸리지 않거나 무증상 또는 가벼운 증상을 앓고 지나간다. 연구진은 안정적인 면역 기억을 갖고 있는 성인들의 경우 약 8년마다 코로나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의 궁극적인 메시지는 사실 교차면역 자체보다는 교차면역이 코로나19를 풍토병으로 바꿀 것이냐에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면역 체계가 코로나 감기 바이러스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생각에 힘을 실어준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런 패턴을 적용할 경우 면역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재감염 빈도는 줄어들고 증상도 약해질 가능성이 높다.

연구를 이끈 알레산드로 세테 박사는 변이의 출현이 면역 구축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결국엔 그런 쪽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가정할 만한 확실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세테 박사는 그러나 아직 그런 단계까진 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코로나19의 감염이 폭발적이지 않고 안정된 수준에 머무는 풍토병으로 옮겨간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위협적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그 근거로 계절성 풍토병이 된 인플루엔자가 여전히 2020년 미국에서만 5만3544명의 목숨을 앗아갔다는 통계를 들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인간은 인수공통감염병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다 1.

인간은 인수공통감염병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다

‘불의 천체’ 이오에는 폭 200km 용암 호수가 있다 2.

‘불의 천체’ 이오에는 폭 200km 용암 호수가 있다

새인데 타조는 달리고 펭귄은 헤엄친다…AI도 버거운 ‘상식의 벽’ 3.

새인데 타조는 달리고 펭귄은 헤엄친다…AI도 버거운 ‘상식의 벽’

북미 개기일식에 출현한 녹색의 악마 혜성과 소호-5008 혜성 4.

북미 개기일식에 출현한 녹색의 악마 혜성과 소호-5008 혜성

왜 어떤 기억은 오래 갈까…‘상식’ 뒤집는 증거 발견 5.

왜 어떤 기억은 오래 갈까…‘상식’ 뒤집는 증거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