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유전체) 연구를 통해 인류의 진화에 관한 비밀을 밝혀낸 스웨덴 출신 스반테 페보가 3일(현지시각) 2022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사진은 2010년 4월 27일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두개골을 들고 포즈를 취하는 페보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체(게놈·유전정보 전체를 의미) 정보를 해독하는 등 고대와 오늘날 인류 사이 연결 고리를 풀어낸 스웨덴 출신 고유전학자 스반테 페보(67)에게 돌아갔다.
3일(현지시각)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상선정위원회는 2022년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을 단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선정위는 페보 소장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네안데르탈인(현생 인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 인류로 약 3만 년 전 멸종)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고,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고인류인 ‘데니소바인’을 발견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고 설명했다. 페보 소장은 지금은 멸종한 고인류들의 유전자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로 이동했고, 이렇게 물려받은 유전자가 오늘날 인간 면역 체계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했다. 선정위는 또 “오늘날 인간과 멸종된 인간을 구별하는 유전적 차이를 밝혀내, 무엇이 인간을 독특한 존재로 만드는지를 탐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며 “(페보 소장이) ‘고유전체학( Paleogenomics)’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과학 분야를 확립했다”고 소개했다.
페보 소장은 현대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해 4만 년 된 네안데르탈인 뼈에서 채취한 미토콘드리아 디엔에이(DNA) 염기서열을 해독하면서 학계 주목을 받는다. 디엔에이는 오랜 시간이 흐르는 동안 화학적으로 변형되며 박테리아 등 다른 생물체 디엔에이에 오염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페보 소장은 일반 디엔에이 대신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 디엔에이에 주목, 분석 기술을 수십 년 동안 이어가는 끈질긴 연구 끝에 2010년 네안데르탈인 게놈 분석에 성공했다. 그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전정보를 비교해 오늘날 유럽·아시아계 디엔에이 약 1~4%는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유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호모 사피엔스)가 수천 년 동안 공존하면서 교배가 있었다는 의미다.
2010년 페보 소장은 앞서 러시아 동쪽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4만년 된 손가락 뼈 디엔에이 분석으로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고인류 ‘데니소바인’을 발견했다.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 사람들에게서 데니소바인 디엔에이가 최대 6% 발견된다. 과학자들은 데니소바인이 약 40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에서 갈라져 나와 시베리아와 우랄알타이산맥, 동남아 지역에서 살다가 3만~5만년 전 멸종한 것으로 본다.
페보 소장은 지난 198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생화학자인 수네 베리스트룀(1916∼2004) 아들로, 2대에 걸쳐 노벨상을 받게 됐다. 한편, 2022년 노벨상은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4일 물리학상, 5일 화학상, 6일 문학상, 7일 평화상, 10일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를 발표한다.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이 숨진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린다. 올해는 2022년 수상자뿐 아니라 코로나19로 시상식에 참여하지 못했던 2020∼2021년 수상자까지 한자리에 모인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