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오(왼쪽) 교수와 김호민(오른쪽) 박사.
과학기술원 이지오·김호민 박사팀…치료제 개발 단서 제공
치명적 질병인 패혈증을 일으키는 세포신호 전달 과정과 과도한 면역반응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자에 의해 상당부분 밝혀졌다.
한국과학기술원 이지오 교수와 김호민 박사 연구팀(화학과)은 6일 “세균의 독성물질이 패혈증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분자의 구조 변화와 작용 메커니즘을 밝혀내 저명한 생물학저널 <셀>의 최신호(9월7일치)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패혈증은 혈액에 세균이 침입해 급속히 번식하면서 생긴 독성물질로 중독증세나 전신 감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사망율은 매우 높지만 효과적인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특정 수용체 단백질(‘TLR4/MD-2’) 복합체가 세균의 독성물질을 인식하면 세포방어 차원에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데, 한꺼번에 너무 많은 세균에 감염되면 면역반응이 흐트러지고 지나치게 활성화해 패혈증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단백질 분자 수준에서 밝혀졌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연구과정에서 치료제 개발에 쓸 단백질들의 다량생산기법(‘하이브리드 LRR 기술’)을 찾아내 앞으로 패혈증 치료제 개발에도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게 되리라고 기대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