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신 강원대 교수(맨오른쪽)와 강원대생들이 ‘우리가 해 보는 물리 실험’ 활동에 나서기 앞서 ‘우물실’ 화물차 앞에 섰다(사진 왼쪽). ‘우물실’ 물리실험 체험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폐·재활용품으로 만든 실험장치들을 만지며 물리 현상을 관찰하고 있다(사진 오른쪽).
조영신 교수, 3년째 중학교 돌며 ‘과학 꿈나무’ 키우기
폐·재활용품으로 실험기구 만들어…경험은 인터넷 공개
폐·재활용품으로 실험기구 만들어…경험은 인터넷 공개
‘물리실험 화물차를 운전하는 물리학자.’ 조영신 강원대 과학교육학부 교수(과학영재교육원장)는 3년 전부터 주로 폐품과 재활용품으로 만든 기기묘묘한 물리실험 장치들을 가득 실은 1t 화물차를 몰고 일선 중학교를 찾아다닌다. ‘우’리가 해보는 ‘물’리‘실’험이란 말에서 몇 글자를 딴 ‘우물실’ 트럭이다. 찾아간 중학교는 90여곳, 참여 중학생은 8천여명이다. 주로 탄광촌이나 농촌의 작은 학교들이다. 2005년 4월부터 이어진 ‘우물실’ 활동엔 조 교수 외에 현직 과학교사 10여명, 강원대생 2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운전석엔 조 교수가, 옆과 뒤 좌석엔 진행요원 대학생 서너명이 함께 탄다. 방학 땐 교사들도 참여한다. 농촌에 사는 조 교수는 “화물차는 내 텃밭 농삿일에도 쓰는 다목적용”이라며 “찾아간 학교에서 학생들이 물리실험 장치를 직접 만지며 이론으로만 배웠던 자연현상을 실제 체험하며 물리에 관심을 보일 때 더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우물실’의 물리실험 장치 제작 기준
‘우물실’은 지식과 정보를 공유한다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 현장의 물리교육을 좀 더 흥미진진하게 만들려는 이들과 모든 경험을 나누겠다는 뜻에서, 실험장치와 지난 경험의 자료들을 인터넷(club.paran.com/physics)에 모두 공개하고 있다. “시작은 미미하지만 좀 더 많은 교수와 연구자들이 교육 현장에 실제 필요한 걸 제공하는, 찾아가는 교육활동에 참여한다면 그 결과는 기대보다 클 것이라고 믿는다”는 조 교수는 “학생들이 물리에 진정한 흥미를 갖게 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사진 ‘우물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