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플라스마 이용의 발광 유리 패널, 수명은 20년

등록 2008-10-15 17:37

과학향기
디자인 기업인 프랑스 Saazs사와 독일 Saint-Gobain사가 개발한 `Planilum`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빛을 발사하는 이 유리는 종래의 어떤 조명과도 다르다. 우선 빛이 유리 표면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유리 내부에서 빛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또한 Planilum의 수명은 약 20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것은 일반 전구와 같이 전극이 관구(管球) 내의 가스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전극이 가스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대신 유리에 공급된 전기가 투명한 전도층을 통해서 흘러 유리층에 갇힌 플라스마 가스를 활성화한다. 유리 표면에 도장된 인(phosphorus)이 플라스마에 반응하여 조명을 한다. 빛은 따뜻하기는 하지만 화상을 입을 정도는 아니라고 한다. 즉, 커피 테이블이나 선반, 벽이 실내 광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Saazs의 디자이너 Tomas Erel은 생각하고 있다. “작은 점으로부터 퍼지는 종래 조명은 소멸하고 면의 빛이 대체될 것"이라고 Erel은 말한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